오피니언 사설

[사설] 서울의 중국어 표기 변경 잘한 일이다

서울시가 서울의 중국어 표기를 ‘한청(漢城)’에서 ‘서우얼(首얼)’로 바꾸기로 한 것은 잘한 일이다. 현실적인 불편 해소도 그렇지만 주체성 확립 측면에서도 의미가 크기 때문이다. 아울러 동북아 허브를 지향하는 우리나라 수도의 한자 명칭을 서울로 바꾸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중국이 서울을 한청으로 부르기 시작한 것은 청나라 때부터로 수백년이 넘는다. 조선시대 서울의 공식 명칭이 한성부(漢城府)였던 데서 연유한다. 이후 일제치하에서 경성으로 불리다가 해방 후 서울이 공식 수도명칭으로 사용되고 세계 각국이 우리식 발음으로 부르는데도 유독 중국어 표기만은 변함없이 그대로라는 것은 결코 유쾌한 일이 아니다. 일각에서는 조선을 속국으로 생각하던 청나라 때의 인식이 배어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있어온 것도 사실이다. 서울이 한청으로 불리다 보니 서울이나 한성이라는 이름이 들어간 기관이나 기업 등이 서로 헷갈리고 우편물 등이 잘못 배달되는 등 우스꽝스러운 일이 자주 일어난다고도 한다. 문제는 변경된 표기를 얼마나 빨리 확산시켜 정착시키느냐 하는 것이다. 중국어 표기는 중국과 중국인에 대한 것이기 때문에 무엇보다 이들에게 이해시키고 널리 알리는 게 중요하다. 서울시는 이를 위해 중국정부와 중국어문화권에 새 표기를 사용해줄 것을 요청하고 다양한 홍보활동을 벌일 계획이라고 한다. 그러나 서울시만의 문제로 볼 것이 아니라 정부는 물론 기업과 국민도 다같이 노력해야 한다. 서울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수도이기 때문이다. 중국도 새 표기를 적극 수용해야 한다. 중국정부는 표기변경에 대해 탐탁지 않은 입장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인명ㆍ지명은 해당국의 표기와 발음을 존중해주는 것이 국제관례다. 중국은 워싱턴ㆍ런던ㆍ베를린 등 외국지명을 실제발음과 최대한 가깝게 표기하고 있다. 우리도 북경(北京)ㆍ상해(上海) 등 중국지명을 베이징ㆍ상하이로, 또 모택동(毛澤東)ㆍ등소평(登小平) 등의 인명도 ‘마오쩌둥’ ‘덩샤오핑’으로 바꿔 표기하고 있다. 중국정부는 서울의 새 명칭을 사용하는 것이 양국 우호관계를 돈독히 하는 길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적극 협조해주기 바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