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특파원 칼럼/4월 23일] 대통령 수행 경제인

참여정부는 대통령의 해외순방에 참여하는 재계 인사들을 ‘동행 경제인’이라고 불렀다. 이전 정부까지의 ‘수행 경제인’이라는 명칭이 관치와 권위주의의 뉘앙스를 풍기고 그 말에 정경유착의 유산이 남아 있다는 판단에서다. 동행 경제인 명단도 청와대가 아닌 경제단체가 발표하는 형식을 취했다. 대통령의 해외순방에 경제인이 함께 가는 것은 정권의 ‘강압’에 의한 것이 아니고 재계가 자발적으로 가는 것이라는 의미를 애써 강조한 것이다. 청와대는 대통령을 수행한 참모들에게 업무와 무관하게 경제인을 만나는 것을 금지했다. 정경유착의 오해를 사지 않겠다는 것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 역시 해외순방 기간 중 재계인사를 공식행사 외에 별도로 만나지 않았다. 지난 2005년 12월 말레이시아에서 열린 아세안 정상회의 기간 중 동행 경제인 가운데 경제 5단체장을 숙소 호텔로 불러 만찬을 한 것이 전부다. 이마저도 비공개로 진행해 대외적으로 알려지지도 않았다. 이명박 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으로 지난주 미국과 일본을 방문했다. 청와대는 함께 간 경제인에 대해 ‘수행 경제인’이라는 용어를 썼다. 뿐만 아니라 지난 16일 저녁에는 수행 경제인을 숙소 호텔로 초청, 만찬을 베풀었다고 한다. 물론 공식행사였다. 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대통령을 따라 해외에 나오면 고생인 것을 잘 안다. 나도 예전에 그런 경험이 있다”며 격려했다. 이 대통령은 참석한 경제인들에게 이름표를 떼라며 격의 없이 대했다고 한다. 참여정부는 재계인사, 특히 재벌총수와의 만남을 극구 외면했지만 집권 중반에 들어 대ㆍ중소기업 상생회의를 연간 두 차례씩 개최하면서 대기업의 양보를 촉구하는 이율배반을 드러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행사 때마다 “허심탄회하게 논의하자”고 했지만 양측 간의 벽은 쉽게 허물어지지 않았다. 상생회의를 수차례 열어도 별다른 진척이 없었던 것은 이런 벽 때문이었는지 모른다. 동행 경제인이든 수행 경제인이든 금쪽같은 시간을 쪼개 대통령의 세일즈 외교를 지원하는 경제인들의 노력은 격려받아 마땅하다. 이 대통령의 해외순방은 이제 막 스타트를 끊었다. 앞으로 자원 및 세일즈 외교를 위해 수많은 수행 경제인이 대통령과 함께할 것이다. 이들을 격려하고 위로하는 것이 경제외교의 성과를 배가하는 일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