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수익도 창출·서민도 지원 금융권, 해법 제시해야

서민 생활 파고드는 영업으로


'수익창출과 서민지원의 접점을 찾아라.' 금융위기 이후 우리 사회의 양극화가 심화되자 금융에도 사회안전판 기능에 대한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금융은 고객신용도와 투자위험도에 따라 서비스를 공급하다 보니 저소득ㆍ저신용계층을 소외하거나 외면한다. 이 때문에 금융은 자칫 직간접적으로 사회 양극화를 심화시킨다. 미소금융대출, 햇살론, 새 희망홀씨대출 등은 이에 대한 고민에서 탄생한 해법 가운데 하나다. 문제는 금융권이 양질의 서민금융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느냐는 점. 서울경제신문이 지난 10월25일부터 11월3일까지 국내 거주 금융업 및 비금융업종 직장인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 "현재와 같은 비(非)시장적 방식만으로는 서민을 향한 양질의 금융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없다"는 의견이 주류를 이뤘다. 이번 설문에서 '서민금융사업이 장기적으로 지속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주요 은행ㆍ저축은행 및 금융지주사들은 10.5%만이 "그렇다"고 답했다. 반면 응답자의 69.0%는 "경제환경이나 정치권의 입김에 따라 (서민금융 사업의) 지속 여부가 달라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부나 여당이 신경을 쓰지 않으면 금융사들도 금세 서민지원 사업에서 손을 뗄 것으로 본다는 답변이다. 심지어 정치권의 입김에 관계없이 금융사들의 서민사업이 무조건 단기간에 그칠 것이라는 매우 비관적인 응답도 20.5%에 이르렀다. 금융인들은 이에 대한 해법으로 '서민복지'와 '시장'의 접점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저신용ㆍ불량고객으로 치부될 수 있는 서민고객이나 중소기업 중에서도 의외로 우량거래의 잠재력이 높은 고객을 발굴할 수 있을 때 금융사가 '장사도 하고 서민도 포용하는' 딜레마 해결의 모범답안을 도출할 것으로 내다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