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버스요금 30% 인상이라니…"

울산지역 업체 市에 조정안 제출<br>시민들 "적자비용 전가" 강력 반발

울산 버스업계가 버스요금 인상 30% 조정안을 울산시에 제출한 데 대해 시민들은 적자비용을 시민에게 전가한다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15일 울산시 버스운송사업조합에 따르면 조합은 최근 일반ㆍ좌석 버스 요금을 현행 950원(카드기준)에서 1,300원으로 인상하는 버스요금 조정안을 시에 제출했다. 조합은 버스요금에 대해 지난 8월부터 용역을 실시한 결과 지난 2006년 12월 17일 버스요금 인상 후 지금까지 천연가스(CNG) 요금이 28.8%나 올랐고 해마다 인건비 2~3%, 각종 부품비용 5~10%, 소비자 물가 3~4% 상승 등 해마다 운송원가가 상승했다고 밝혔다. 조합 관계자는 "울산의 경우 준공영제도 아닌데다가 시에서 일부 재정지원을 받고는 있지만 그것만으로 턱없이 부족해 매년 20~30억원의 적자가 발생하는 등 업계의 경영난이 심각한 수준"이라며 "업계도 생존하기 위해서 버스 요금 인상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지역 시민단체들은 "버스 업계의 적자 비용을 시민에게 전가시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특히 울산시의 버스업계 재정지원은 올해 170억원, 내년 185억원으로 증가한데다 이 가운데 무료환승 운임보전 또한 올해 107억원에서 내년 125억원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요금인상 요인이 크지 않다고 지적했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버스 요금인상 요인이 크지 않다고 판단되는 가운데 업체들의 자구 노력도 없이 일방적으로 요금인상안을 제출한 것은 시민을 무시한 처사"라며 "시민과의 합의 없이는 버스 요금 인상을 하지 못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해 울산시는 버스 요금인상건을 내년 초 최종 결정한다는 입장이다. 조합의 인상안에 대한 검증과 대중교통개선위원회, 물가대책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정부의 하반기 공공요금 억제정책과 각종 절차 등을 감안하면 올해 인상은 힘들다"며 "부산 등 타 시ㆍ도와 함께 인상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부산시의 경우 인상된 시내버스 요금이 26일부터 시행되나 시민과 시민단체가 서명 운동을 벌이는 등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