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임경빈의 골프아카데미] (끝) 골프 잘 치는 비결

골프가 인생 같다는 말을 많이 한다. 특히 인생이 행복을 추구한다면 골프는 좋은 스코어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닮은 점이 많다. 행복을 위한 조건이 여러 가지 있듯 골프 스코어를 줄이는 방법도 드라이버, 아이언, 퍼팅, 매니지먼트, 마인드 컨트롤 등 여러 가지다. 중요한 것은 어느 한 곳에 치우치거나 또 어느 한쪽이 모자라는 것 없이 중립을 지키는 것이다. 지나치게 잘 치려고 집착해서도, 너무 느슨해서 대강대강 해도 안 된다. 중립을 지키기 위해서는 무엇이 우선인 지를 알아야 한다. 보통 골프가 어렵다고 하는 데는 일반적인 상식과 반대적인 요소가 많기 때문이라는 점을 늘 생각할 필요가 있다. 볼을 띄우려면 클럽을 내리 누르듯 쳐야 한다는 것이 대표적인 것이다. 또 연습에도 방법이 있음을 상기해야 한다. 아마추어들은 죽어라고 볼만 치면서 열심히 연습한다고 생각하지만 그렇게 해서는 발전을 기대하기 힘들다. 프로골퍼는 잘못된 점을 찾아 그것을 고치려고 비지땀을 흘린다. 잘못된 동작으로 볼을 쳐대는 아마추어와는 다른 것이다. 연습스윙을 문제를 충분히 고친 뒤 점검차원에서 볼을 치는 것이다. 어깨 회전이 되지 않을 때는 스트레칭으로 충분히 어깨 돌리는 감각을 터득하고, 코킹이 안 된다면 코킹하는 법을 익힌 다음에 볼을 쳐야 한다는 말이다. 한 가지 틀린 동작을 교정하려면 만 번 정도 연습을 해야 한다고들 한다. 그런데 아마추어 골퍼들은 대체로 노력이 부족하다. 충분히 교정을 한 다음을 많이 치는 것이 중요하다. 아직 익숙하지 않은 동작에 대한 자신감을 얻기 위해 여러 번 샷을 하는 것이 좋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때도 예전의 동작이 나오지 않도록 각별히 신경을 써야만 한다. 필드에 나섰을 때도 요령이 있다. 대부분의 아마추어 골퍼들은 라운드할 때 궁금증만 누르면 성공할 수 있다. 즉, 볼이 어디로 가는지 보고 싶은 마음을 누르고 싶어 머리나 어깨를 들지 않으면 샷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는 말이다. 짧은 퍼팅은 귀로 확인하라는 말이 있듯이 일반 샷을 할 때도 볼이 지면에서 출발하는 모습을 지켜본 뒤 고개를 들면 된다. 그 동안 `임경빈 골프아카데미`를 애독해 준 독자들에게 감사드린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