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계동 현대 사옥으로 금감원, 이사 재추진

금융감독원이 현대그룹 본사 사옥인 계동건물로 이사하는 방안을 다시 추진한다. 현대건설이 채권단 손으로 넘어가 이제 ‘현대 봐주기’라는 특혜시비에서 자유롭게 됐기 때문이다.금감원의 건물 이전은 해묵은 숙제. 현재의 서울 여의도 사옥(옛 증권감독원 건물)이 협소해 1,500여명의 직원들을 소화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지난해 금융사고에 간부들이 잇따라 연루되면서부터는 건물에 ‘마(魔)’가 끼었다는 말까지 나돌았다. 금감원은 제일은행 본점에 이어 금호빌딩 등 사대문안은 물론 여의도 SK빌딩 등 곳곳을 찾아 보았지만 여의치 않았다. 이후 현대가 유동성 위기에 몰리면서 계동사옥을 자구물건으로 내놓자 청와대는 물론 금융회사들과도 가까운 이 곳을 최적의 장소로 꼽아왔다. 그러나 가뜩이나 현대에 대한 특혜지원론이 거센 가운데 대놓고 계동 이전을 말할 수도 없었던 상황. 하지만 현대에 대한 출자전환이 이뤄지고 현대측도 국내외 투자자에 대한 매각이 여의치 못하게 되자 이젠 부담이 없어졌다. 한 관계자는 “금감원이 건물을 이전할 때 한국은행으로부터 받기로 한 보조금도 올해말이 시한”이라며 “연말까지는 어떤 식으로든 결론을 내야 한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계동사옥 본관만을 원하는 반면 현대측은 본관외에 별관까지 동시 매입해줄 것을 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영기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