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실전 재테크] 위험관리형 상품 골라라

회사원인데 '주가 조정기'에 투자 방법은…<br>적립식펀드 장기투자 효과커… 원금보전형 수익증권도 추천

문> 저는 회사원으로 현재 매달 50만원 정도의 추가 저축이 가능하며, 은행 정기적금이 만기가 돼 3,000만원이 모아졌습니다. 정기예금 금리가 너무 낮아 보다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상품에 투자하려 합니다. 최근 들어 주가가 등락을 거듭하고 있어 어떻게 투자를 해야 할지 망설여집니다. 좋은 방법을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답> 첫째, 주가 조정기에는 안정성을 우선시하면서 또 다른 투자의 기회를 찾아야 합니다. 안정성을 추구할수록 금융상품은 이자율이 낮아집니다. 하지만 위험이 내재된 상품에 선뜻 투자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따라서 위험부담은 최소화하면서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위험관리형 상품이 필요합니다. 둘째, 밀짚모자를 겨울에 사는 지혜를 활용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주가가 하락하기 시작하면 비관적으로 생각하여 주식에 투자되는 상품의 가입을 꺼리거나 이미 투자된 금액을 인출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일정한 목표수익률을 달성한 경우가 아니라면 적절한 방법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주가가 하락할 때에는 일시투자가 아닌 정액분할 투자방법이나 적립식 펀드를 이용하면 좋은 투자기회가 되기 때문입니다. 밀짚모자는 겨울에 사면 싸게 살수 있습니다. 주가가 하락하면 수익증권이나 펀드의 기준가가 하락하기 때문에 동일한 금액이라도 낮은 가격으로 많이 살수 있습니다. 많은 분들은 주가가 하락하면 인출을 하고 주가가 상승하면 투자를 해 나가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는데 이는 수익을 얻고자 하는 목적에 역행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요즘과 같이 주가가 등락을 거듭하며 조정을 보일 때 2~3년의 장기적인 관점에서 꾸준히 분할 투자해 나가는 것이 고수익을 얻을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될 것입니다. 셋째, 주가조정기에 더욱 투자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상품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적립식 펀드가 대표적인 상품입니다. 적립식 펀드는 적금과 같이 매월 일정금액을 꾸준히 투자해 나가는 상품으로 투자대상이 주식이나 채권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식형의 경우 주가가 상승하여 기준가격이 높아지면 조금 매입하게 되고 주가가 하락해 기준가격이 낮아지면 매입좌수가 늘어나도록 해 전체적으로 평균 매입가격을 낮추는 방식으로 설계된 상품입니다. 투자기간 중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하더라도 인출하고자 하는 시점의 주가가 신규당시의 주가수준에 근접하기만 하면 높은 수익률을 얻을 수 있으며 투자기간 중 목표수익률을 초과했을 시 언제라도 불입금을 찾아 수익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2-3년 이상의 장기 목돈마련을 계획하는 경우라면 적극 이용할 가치가 있는 상품입니다. 주가지수하락 커버용 수익증권도 추천합니다. 주가가 일정부분 하락하더라도 원금보전은 물론 정기예금의 2배 이상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된 상품입니다. 상품의 수익구조는 우량주식중 한가지 또는 두 가지를 선택해 가입 당시보다 40%이상 하락하지 않으면 원금이 보전되고 10%이상 하락하지 않으면 8~13%정도의 수익을 지급하는 상품이 대부분인데 이는 보수적인 성향의 투자자들이 이용하기에 적절한 상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주식에 직접 투자할 경우 주가가 하락한 만큼 손실이 발생하는 반면 이러한 상품들은 주가가 일정부분 하락하더라도 원금손실은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변동성이 크고 불확실한 금융환경에서 적절한 투자수단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오토시스템 펀드도 고려해봐야 합니다. 주가가 급격한 하락 또는 상승이 예상되지 않고 일정 범위 내에서 상승 하락이 반복될 경우 안정적 수익률을 실현할 수 있는 오토시스템 펀드는 최근과 같이 박스권에서 움직이는 금융시장에서 빛을 발하는 상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에 의해 펀드에 편입된 주식의 가격이 오르면 자동으로 분할 매도되고 하락하면 매입토록 함으로써 주관적인 판단의 위험을 배제하고 순수하게 시장에서 나타나는 흐름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펀드매니저에 의해 운용되는 펀드와 다릅니다. 최근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오토시스템 펀드는 대부분 10%대 이상의 수익을 실현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이러한 박스권 장세가 예상되므로 요즘과 같은 시장 환경에서 목돈의 운용은 오토시스템 펀드의 이용을 적극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김인응 우리은행 PB팀장(CFP)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