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재개발지분 매물 자취 감춰

다주택보유자 양도세 강화 조치가 1년간 유예되면서 `10ㆍ29대책`이후 급증했던 재개발지분 매물이 자취를 감추고 있다. 7일 부동산중개업계에 따르면 최근 2~3주 사이 서울 마포ㆍ성동ㆍ성북구 등 주요 재개발사업 밀집지역에서 투자자들의 매도주문 철회로 성사직전의 매매계약이 파기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또 매물이 급속히 사라지면서 매도 호가가 상승하고 있다. ◇양도세 강화 유예로 매물 사라져=기존의 다주택보유자에 대한 양도세 강화조치가 1년 유예됨에 따라 당초 재개발지분 매물을 급하게 처리하려던 투자자들이 매도시기를 철거 이후로 미루고 있다. 특히 재개발지분은 철거 이후부터 준공시점까지는 주택이 아닌 분양권으로 간주돼 경과조치 기간이 지난 뒤라도 양도세 중과를 피할 수 있어 매도자들이 매물을 거둬들이고 있다. 실제로 최근 구역지정을 받은 성동구 행당4구역의 경우 투자자들이 매물을 거둬들이면서 계약서에 도장 찍기 직전에도 거래가 파기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이 지역 인터넷부동산 김종갑 사장은 “보통 구역지정이 되면 값을 올려 지분을 매도하는 투자자들이 나오게 마련인데 행당4구역의 경우 오히려 구역지정이 된 이후 매물이 사라졌다”며 “이는 인근의 다른 재개발구역에서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마포구 신공덕5구역에서도 오는 5~6월 철거가 시작될 것으로 보임에 따라 지분 매도시점을 그 이후로 미루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향후 33평형 아파트 배정이 예상되는 지분의 경우 2억5,000만원(추가분담금 1억5,000만원 예상)에 매입하겠다는 매수주문이 있지만 매물이 거의 없어 거래가 성사되기 어려운 상황. 성북구 정릉1ㆍ5ㆍ6구역 등에서도 사정은 비슷한 상황이다. 공덕동 딸기부동산 박영란 실장은 “다주택보유자의 양도세 강화조치에 대해 부담을 느끼는 매도자들의 상담이 늘었으나 최근 유예조치가 발표된 이후 매물이 크게 줄어든 상태”라고 말했다. ◇철거가 시작된 지구에선 매물 늘어=반면 철거가 시작된 재개발구역에선 매물이 급증하고 있다. 이는 가격이 많이 올라 추가 수익을 기대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최근 철거를 시작한 성북구 길음 5구역만 해도 인근 중개업소마다 6~10건정도의 매물을 보유했을 정도다. 성동구 금호11구역에서도 한동안 찾아보기 어렵던 물건이 나오면서 거래가 조금씩 이뤄지기 시작했다. 전문가들은 철거 전후 단계의 재개발지분 대부분이 많이 오른데다가 추가분담금까지 고려하면 인근 새 아파트를 매입하는 비용과 큰 차이가 없는 만큼 투자보다는 실수요 목적으로 구입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조언하고 있다. <민병권기자 newsroom@sed.co.kr>

관련기사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