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부-채권단, 반발 최소화 '묘수찾기'

■ 하이닉스매각 물밑 재협상다양한 방법 검토불구 협상과정 진통클듯 '다른 대안은 없다.' 정부와 채권단이 하이닉스반도체의 재매각 방침을 굳히고 양해각서(MOU) 체결이 무산된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한 묘수 찾기에 나섰다. 채권단은 일단 마이크론테크놀로지측이 재협상의 여지를 남김에 따라 주간사간 접촉을 통해 어느 정도 의견이 조율되면 본격적으로 협상테이블에 앉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당초 매각을 빨리 진행하기 위해 검토했던 조기 출자전환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데다 잔존법인에 대한 추가 부채탕감 역시 채권단의 역반발을 불러올 우려가 크다. 따라서 조기 재매각 협상 방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협상과정에서 상당한 진통이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 잔존법인 부채탕감 비율 상향 검토 채권단은 일단 마이크론측이 하이닉스 이사회의 매각 부결에도 불구하고 재협상의 여지를 남기고 있다는 점을 감안해 조기에 재매각 협상에 들어갈 방침이다. 채권단은 일단 채권단협의회를 통해 CB 주식전환, 경영진 및 이사진 교체, 잔존법인에 대한 부채탕감 등의 절차를 거쳐 매각작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그러나 조기 출자전환의 경우 이달 말 전에 가격을 재조정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보고 잔존법인의 생존 가능성을 최대한 높여 하이닉스측의 반발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채권단은 잔존법인에 대한 부채탕감 비율을 당초 50%에서 최대 70% 안팎으로 상향 조정하고 하이닉스측이 최대 3조원에 달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우발채무 규모에 대해서도 재검토에 나설 예정이다. ■ 매각방식 바뀔까 채권단의 재협상 방침에 마이크론측도 "사업기회의 논의는 전세계적으로 항상 열려 있다"며 협상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했다. 그러나 현 상황에서 매각절차를 바꾸고 잔존법인에 대한 구조조정방안을 새로 마련하는 것 외에 매각금액이나 방식에 변화를 줄 수 있을지 여부는 불투명하다. 이런 가운데 미국 현지의 한 언론은 "하이닉스의 메모리사업 전체를 매각하지 않고 유진공장만을 따로 떼어 파는 등 부분매각으로 전략을 바꿀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해 눈길을 끌고 있다. 채권단의 한 고위관계자는 "부채가 많은 유진공장만을 매각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말이 안된다"면서도 "메모리 매각을 그대로 추진한다는 것이 기본 방침이지만 매각방식은 협상에 따라 유동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사실상 원점에서 새로 출발하는 만큼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다양한 방법들을 검토하고 있다"며 "조만간 가질 운영위원회 등을 통해 충분히 의견을 수렴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이진우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