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미 금리인상] 가계·기업 이자상환 고통 가중… 내수 통한 성장전략 차질 우려

■ 국내 실물경제 파장은

대미수출 늘어도 엔저공습·신흥국 리스크로 빛바래

금융위기 때도 없던 2년 연속 마이너스수출 가능성도



미국이 9년 만에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함에 따라 앞으로 우리 경제에 미칠 파장이 주목되고 있다. 사상 최고 수준의 외환보유액, 경상수지 흑자 기조, 단기외채 비중 감소 등 과거와 달리 대외지급 건전성 체력이 튼튼해졌지만 안심할 수만은 없다는 진단이다. 금리 인상에 따른 급격한 자본유출이나 외환위기의 가능성은 낮지만 금융과 실물 분야의 약한 연결고리를 건드려 악재로 작용할 경우 복합위기 상황으로 치달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 경제의 아킬레스건으로 불리는 1,200조원의 가계부채와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예측 불가다.

미국의 금리 인상은 금융시장뿐만 아니라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우선 시중금리 인상으로 1,200조원에 이르는 가계부채의 부실이 우려된다. 빚 상환 부담으로 소비부진이 더욱 심화될 수 있다. 소비는 이미 한계소비성향이 사상 최저 수준까지 떨어지는 등 최악의 상태다. 저금리 기조 속에 시중에 풀려 있던 자금들이 금리 인상으로 회수 압박이 커지면서 주식·부동산 등 자산가격의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높다. 금리 인상→부채 증가 및 자산가격 하락→소비 감소→내수 위축이라는 시나리오다. 정부가 내년 경제정책 방향에서 주력으로 내세운 내수를 통한 경제성장 전략에 차질이 불가피하다.

어려운 대내외 환경에 2년 연속 매출이 감소한 기업들의 경영도 더욱 악화할 것으로 보인다. 금리 인상기에는 기업들의 자금조달 어려움이 가중되고 이는 투자 부진으로 이어져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게 정설이다. 명예퇴직 등 구조조정이 한창 진행되고 있는 기업들의 구조조정이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벌어들인 돈으로 이자 비용도 감당하지 못하는 좀비기업들은 설상가상이다. 홍준표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한은이 당분간 기준금리를 동결하더라도 은행들은 시중금리 상승에 따라 금리를 올릴 것"이라며 "가계와 기업의 이자상환 부담의 고통은 더욱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가장 큰 타격이 예상되는 부분은 수출이다. 전년 대비 11개월 연속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수출은 미 금리 인상에 따른 신흥국의 자금 이탈과 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 위축의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전망된다. 환율 효과도 부정적인 평가가 우세하다. 미국 금리 인상 이후 달러 강세가 추세적으로 굳어지겠지만 엔화와 위안화 절하 속도가 원화 약세보다 가파를 가능성이 높다. 특히 중국이 위안화를 달러 연동(페그제)에서 복수 바스켓 통화 연동으로 전환할 움직임을 보이는 것도 위안화 절하의 수순으로 관측된다.

국제유가가 약세 기조를 이어가는데다 원자재 의존도가 높은 신흥국 경제가 급격하게 둔화될 경우 미국의 경제회복에 따른 수출 증가를 상쇄하는 이상이 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국내 수출의 12% 정도를 차지하는 대미 수출이 전체 수출 하락분을 견인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

이창선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신흥국 경기 부진 여파로 세계 경기가 동반 침체되면 우리 수출은 2년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할 가능성도 있다"고 진단했다. 수출이 2년 연속 마이너스를 나타내는 것은 금융위기 때도 없던 일이다.

금융위기 당시에는 수출이 1년 감소했다가 그다음에 기저효과로 급반등했다. 수출만 놓고 보면 금융위기 당시보다 환경이 더 좋지 않은 셈이다. /세종=김정곤기자 mckids@sed.co.kr


관련기사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