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안철수 "낡은 진보 청산…김대중·노무현 극복해야"

친노 주류 겨냥 '혁신 시리즈 2탄'









안철수 '배타적·패권적 운동권문화…DJ·盧 극복해야'
새정치민주연합의 안철수 전 공동대표가 11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우리 당은 배타적이고 패권적 문화가 가득 차 있으며 운동권 문화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며 낡은 진보와 교조적 이념주의 청산을 주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안철수 새정치민주연합 전 공동대표가 11일 "낡은 진보를 청산하고 정권교체의 길로 나가야 한다"며 당의 강도 높은 개혁을 주문했다. 아직도 새정연의 '뿌리'로 남아 있는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의 극복이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도 폈다.

안 전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자신이 제시한 '혁신 시리즈 3탄' 중 두 번째 구상을 밝혔다. 그는 회견에서 배타성·무능·불안·무(無)비전 등 '낡은 진보'의 규정 요소들을 열거하면서 사실상 문재인 대표를 비롯한 당내 주류 세력을 겨냥했다. 당내 친노(친노무현) 주류 세력이 주도했던 19대 총선과 18대 대선 평가보고서에 대해 공개검증을 요구하기도 했다.

안 전 대표는 총·대선 평가보고서 공개검증을 비롯해 △수권비전위원회 설치 △윤리심판원 전면 재구성 △당 체질 조명과 개혁을 위한 집중 토론 △원칙 없는 선거 금지 △정책연대 금지 등 5개 요구사항을 밝혔다.

안 전 대표는 박근혜 정부의 실정(失政)과 당내 주류 세력들의 무능을 동시에 비판했다. 그는 "(박근혜 정부) 무능과 혼란은 국가의 역할과 존재를 의심케 한다. 여당의 부패와 일탈은 도를 넘었다"며 "우리 당은 정권을 빼앗긴 지 8년이 지났지만 수권대안 세력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자신의 '낡은 진보 청산'이 겨냥한 대상에 대해 "특정 사람이나 세력을 거론한 것이 아니다"라고 했으나 사실상 친노 주류를 겨냥한 행동으로 풀이돼 파장이 일 것으로 전망된다. 안 전 대표는 한명숙 전 대표의 대법원 판결 이후 주류 측 태도를 겨냥해 "자신은 선, 상대는 악이라는 흑백논리로 오류 가능성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했고 정책 부문에서도 "노무현 정부 때 추진했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과 제주도 해군기지 건설을 스스로 부정했다"고 날 선 비판을 했다. 지난 총·대선 당시의 야권연대도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다만 공개검증 후 '책임론'과 관련해서는 "(당직 사퇴 등) 책임을 지기보다는 공개적인 반성을 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수위를 조절했다.

또 김대중 전 대통령의 극복 필요성을 강조한 부분과 '운동권 문화'의 폐해를 지적한 대목에 대해서는 당내 동교동계와 86세력 등의 반발도 예상된다.

안 전 대표는 자신의 요구 사항에 대한 문 대표의 조속한 답변을 요구하면서 "이 문제를 풀기 위해 만날 사람들을 만나고 설득하도록 하겠다"고 개선 의지를 강조했다.


관련기사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