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여 "공무원 불법감금" vs 야 "청와대 비밀조직"

역사교과서 국정화 논란… 교육부 TFT 공방

김무성 '野 공무원 감금 작태 기가 막힌 심정'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26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새정치민주연합이 교육부의 역사 교과서 국정화 관련 태스크포스팀(TFT) 사무실에 대한 현장 확인을 시도한 것과 관련해 '공무원 감금'이라고 비난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고위 발언하는 도종환 특위위원장
새정치민주연합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저지 특위 위원장인 도종환(왼쪽 두번째) 의원이 26일 오전 서울 효창동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전날 공개한 국정교과서 비공개 태스크포스팀(TFT) 운영과 관련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회의 국정 역사 교과서 공방이 장외로 확대되고 있다. 지난 25일 야당의 교육부 산하 '국정화 태스크포스팀(TFT)' 급습을 두고 여야 대치 전선도 더욱 뜨거워지고 있다.

새누리당은 26일 새정치민주연합 일부 의원들이 주도한 국정화 TFT 급습을 맹비난했다. 2012년 대선 당시 국정원 여직원의 댓글 의혹 사건을 언급하며 '불법 감금'이라고 주장했다. 김무성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 모두발언에서 "야당 의원들이 현장(TFT 사무실)을 들이닥쳐 우리 공무원들을 감금하고 나오지 못하게 하는 작태가 벌어지고 있다"며 "정말 기가 막힌 심정"이라고 말했다. 서청원 최고위원은 "2012년 대선 때 국정원 여직원을 미행하고 이틀 동안 감금했던 일이 기억난다"고 비판했다.

야당은 국정화 TFT 적발을 계기로 공세의 고삐를 더욱 죄고 있다. 새정연은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들을 중심으로 25일 밤부터 TFT 사무실이 있는 서울 종로구 대학로 국립국제교육원 앞을 반나절 넘게 지키면서 여론 환기 작업에 나섰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이날 아침 회의에서 "역사 교과서의 국정화 전환작업을 위해 비공개·비밀 아지트에서 활동한 TFT가 적발됐다"며 "5공화국 시절 악명 높았던 관계기관대책회의 같은 느낌"이라고 비판했다.

야당은 '업무 증가에 따른 일시적 증원'이라는 교육부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청와대가 주도해 국정화를 음지에서 추진해온 '비밀조직'이라고 기정 사실화하고 있다. 이를 두고 여당에 교문위와 운영위 소집을 요구하는 한편 27일로 예정된 박근혜 대통령의 국회 시정연설에 불참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등 강력 대응에 나섰다.

다만 지난 국정원 댓글 사태 때와 달리 야당이 장외투쟁보다는 원내 공방에 집중하는 전략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국정화 반대 여론이 서서히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불법 감금' 등으로 쟁점이 흔들릴 경우 야당에 역풍이 더 커질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진동영·박형윤기자 jin@sed.co.kr


관련기사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