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현대차, 자율주행차 반도체 칩 직접 개발한다

현대자동차그룹이 자율주행차의 반도체 칩을 직접 개발한다.

9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자율주행차용 반도체 설계를 직접 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자체 공장에서 직접 반도체를 생산하지 않고 반도체를 설계해 주문하는 파운드리(위탁생산) 방식을 택할 것으로 알려졌다.


자율주행차는 카메라 등 주행환경 인식장치와 자동항법장치를 기반으로 조향과 변속·가속·제동을 스스로 제어해 목적지까지 주행할 수 있는 차량이다. 메르세데스벤츠와 아우디 등 기존 완성차 업체뿐 아니라 구글·애플 등 정보기술(IT) 기업들도 무인차와 같은 자율주행차 개발에 뛰어들만큼 기술력 확보에 전력투구하고 있다.

관련기사



현대차도 제네시스 브랜드의 신차 EQ900에 장거리 자율주행기술인 ‘고속도로 주행지원 시스템(HDA)’를 탑재하는 등 선행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앞서 지난 달 22일 서울 강남구 영동대로에서 2세대 제네시스로 자율주행 시연을 실시하는 등 상당한 기술력을 확보한 상태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2012년 반도체 설계 전문 계열사인 현대오트론을 설립한데 이어 올해부터 2018년까지 스마트카, IT기술 개발에 2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 투자액 중 상당 부분이 자율주행용 반도체칩 개발 등에 투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현재는 자율주행차용 칩과 센서를 협력사로부터 사오고 있지만 앞으로 이같은 칩과 센서를 자체 개발할 계획”이라면서 “수년 내 자체 개발 능력을 갖추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성행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