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권홍우의 오늘의 경제소사]920년 시차 속의 십자군




1095년 11월 27일, 프랑스 중부도시 클레르몽. 성직자 3,000명을 비롯해 수만 명의 신도가 운집한 성당 광장에 마련된 연단에 교황 우르바누스 2세가 올랐다. 군중은 경외심을 갖고 교황을 올려봤다. 불과 며칠 전 정적이었던 프랑스 국왕 필리프 1세를 과감하게 파문해 교회의 권위를 드높였던 교황이 아닌가. 권력의 정점에서 교황은 목청껏 외쳤다.

‘성도들이여, 성지 예루살렘이 이교도의 발 밑에서 신음하고 있습니다. 신도끼리 싸우던 창을 돌려 성지를 회복해야 합니다. 싸우는 자는 예루살렘에 쌓인 수많은 금과 은·보물을 얻을 것이요, 목숨을 잃는 자는 천국에서 보상받을 것입니다.’

열광한 군중과 선동가 ‘은자 피에르’에 의해 전쟁 소식은 삽시간에 유럽 전역으로 퍼졌다. 유럽의 기독교 세계는 ‘천국과 보물’을 얻으려는 집단적 광기로 넘쳤다. 1291년까지 3세기 가까이 소아시아와 예루살렘을 피로 물들인 십자군전쟁이 이렇게 시작됐다. 교회가 앞장서 전쟁을 부추긴 데에는 교황권을 강화하는 동시에 동서교회의 통합을 주도한다는 계산이 깔려 있었다.


군중 십자군부터 시작해 어린이 십자군에 이르기까지 모두 11차례의 원정에서 성지 회복에 성공한 적은 단 두 차례. 신의 뜻을 전파한다는 대의와 달리 역대 십자군 원정은 약탈과 살육으로 점철됐으나 예기치 않았던 결과도 가져왔다. 수많은 병력과 유럽 각국의 군대가 이동하며 먹고 자고 싸우는 데 들어가는 돈을 조달하고 송금하는 과정에서 상인들이 거대자본을 쌓았다. 이탈리아 도시국가들은 중계무역과 금융으로 자본을 축적, 르네상스로 가는 길을 열었다. 국가는 달라도 공동의 적인 이슬람과 싸우며 기독교 문화권으로서 유럽의 정체성도 생겨났다.

관련기사



최악이었던 십자군은 1203년 프랑스 귀족들의 종교적 열망과 베네치아의 상인 자본이 결합해 출범한 제4차 십자군. 헝가리 기독교인들이 항구를 약탈하고 콘스탄티노플을 점령해 온갖 만행과 살인을 저질렀다. 2001년 그리스를 방문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십자군이 저질렀던 침략과 약탈, 학살에 대해 정식으로 사과했다. 그리스는 경제 위기를 맞을 때마다 ‘서유럽국가들이 21세기판 십자군으로 그리스를 집어삼키려 한다’고 불만을 토해냈을 만큼 십자군의 만행은 같은 기독교도 국가들의 머리 속에 각인돼 내려온다.

이슬람 입장에서 십자군은 ‘악마의 군대’와 다름 없었지만 세계가 서구 중심으로 돌아가는 오늘날 십자군은 ‘정의로운 군대’의 대용어로 곧잘 인용된다. 부시 대통령이 ‘현대판 십자군 전쟁’이라고 지칭했던 대테러 전쟁도 아랍인의 눈으로 볼 때는 예전과 마찬가지다. 다른 점이 없지는 않다. 예전 십자군이 상업발달과 자본축적이라는 결과를 낳았다면 ‘현대판 십자군’은 과도한 전비로 경제난을 부채질하고 있다.

십자군은 남의 일이 아니다. 이슬람 극단 테러 단체인 IS(이슬람 국가)는 한국도 ‘미국이 주도하는 십자군 동맹의 일원’이라며 테러 목표로 삼겠다고 밝혔었다. 신의 뜻이 과연 어디에 있는지 참으로 궁금하다. 신은 정녕 전쟁과 테러, 야만을 부추기는 것일까. 다른 종교를 인정하는 공존과 평화는 불가능의 영역인지…. 오늘날의 세계는 종교의 이름 아래 세상을 덮었던 920년 전의 탐욕과 광기와 얼마나 다른가./권홍우 논설위원 겸 선임기자 hongw@sed.co.kr

권홍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