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고용지표 두달연속 부진… 미국 연내 금리인상 불확실성 더 커졌다

9월 취업자수 14만명으로 예상치 크게 못미쳐

미국의 지난달 고용지표가 시장의 기대에 훨씬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상도 연말 이후로 미뤄질 가능성이 커졌다. 미국 노동부가 2일(현지시간) 지난 9월 고용지표를 발표하기 바로 전날만 해도 존 윌리엄스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총재 등 지역 연은 총재들은 노동시장 개선을 확신하며 10월 금리 인상 가능성을 내비쳤지만 9월 신규고용자 수가 예상치는 물론이고 이전 달보다도 저조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또 다시 연준의 발목을 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미국 노동부는 지난달 비농업 부문 신규취업자 수가 14만2,000명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 예상치인 20만3,000명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이전 달인 8월 신규 고용자 수도 17만3,000명에서 13만6,000명으로 대폭 하향 조정됐다. 다만 실업률은 5.1%로 7년 6개월 이래 최저 수준이었던 8월과 변함이 없었다.

신규취업자 수 등 고용지표는 연준이 금리 인상 여부를 판가름하는 핵심지표로 여겨져왔다. 특히 미국은 신규고용 20만명을 기준으로 고용시장의 개선과 부진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미국 고용시장이 예상보다 부진한 것은 중국 경기 둔화 등 전 세계의 불안한 시장 상황이 미국 경제에 영향을 끼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무디스의 선임 이코노미스트인 라이언 스위트는 "이 같은 예상 밖의 부진한 지표는 경기 확장의 강도에 대한 신뢰도가 약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고용 증가세가 두 달 연속 기대 이하에 머물면서 오는 27~28일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연준이 금리를 올릴 가능성은 아주 낮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연내에 금리 인상을 단행하기도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스위트 선임이코노미스트는 "미국 경기 확장에 대한 확신이 사라지고 있다"며 "이는 반사적으로 시장 변동성을 키우는 신호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은 첫 금리 인상 시기를 연말 이후로 점치고 있다. 시카고상업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선물시장에서 내다보는 10월 인상 가능성은 11%로 낮았고 오는 12월 인상 가능성은 42%, 내년 1월과 3월은 각각 52%, 65%에 달했다.



관련기사



최용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