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대우조선 채권단-노조 팽팽한 대립

"임금동결·無파업 약속을" "초법적 요구 수용 못해"

대우조선해양 채권단이 노동조합에 추가 자금지원의 전제조건으로 임금 동결과 파업 금지 약속을 요구했지만 노조는 부실의 원인은 노조라는 시각과 법적 권리를 제한하는 조치는 받아들일 수 없다며 팽팽하게 맞섰다. 자금수혈이 시급한 가운데 채권단과 노조가 대립하며 지원 시기도 상당 기간 늦춰지게 됐다. 다만 양측 모두 반드시 회사를 정상화해야 한다는 데 공감한 만큼 다음 논의에서는 입장 차가 상당히 좁혀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정용석 산업은행 구조조정본부장 등 채권단은 23일 오전 경남 거제시 대우조선 옥포조선소를 찾아 현시한 노조 위원장 등 노사 관계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회사 경영이 정상화될 때까지 임금을 동결하고 파업하지 않겠다는 동의서를 써달라고 요구했다. 채권단은 전날 대우조선에 4조원대 자금을 지원하려다 노사의 자구노력에 대한 약속과 동의서를 받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으로 급선회했다.

노조는 강력히 반발했다. 조현우 대우조선 노조 정책기획실장은 "경영이 어려워진 것이 노조 때문인 것처럼 얘기하면서 헌법에 보장된 파업권까지 포기하라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뜻을 분명히 전했다"고 말했다.

이날 협상이 성과 없이 끝나며 대우조선에 대한 추가 자금지원은 시일이 더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채권단과 대우조선 노조, 사측 모두 경영 정상화에 한목소리를 내는 만큼 다음 논의는 더 진전될 것이라는 게 업계 안팎의 관측이다. 실제 조 실장은 "언제까지 평행선을 달릴 수만은 없다"며 "어떻게든 회사를 살릴 방법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노조는 지난 15일에도 성명을 내고 "회사 정상화를 위해 모든 것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대우조선 사측은 금융당국과 채권단이 추가 자구노력의 필요성을 제기했다는 사실을 전해 듣고 잔뜩 긴장한 눈치다. 이미 비핵심자산과 계열사를 100% 매각하고 임원·조직 30% 감축, 부장급 희망퇴직 등 고강도 구조조정을 단행한 가운데 더 내놓을 카드가 있겠느냐는 생각에서다. 이에 대해 대우조선의 한 관계자는 "아직 채권단으로부터 공식 통보를 받지 않았다"고 말했다.

한편 정성립 대우조선 사장은 이날 노조를 방문해 채권단 요청에 최대한 협조할 것을 당부했다.


관련기사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