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국내 통신사 '넷플릭스 잡기' 물밑경쟁 여전

무리한 수익배분 요구에도 콘텐츠 차별화 위해 협상 끈 안놔

세계 최대 주문형비디오(VOD) 스트리밍업체 넷플릭스가 지난 7일부터 돌연 국내 독자서비스를 개시했지만 국내 통신사들은 여전히 '넷플릭스 잡기' 물밑 경쟁을 펼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신업계는 넷플릭스의 독자서비스 개시가 '몸값 불리기'를 위한 위력시위임을 이해하면서도 넷플릭스가 콘텐츠 차별화를 위한 킬러 아이템이라는 점에서 협상의 끈을 결코 놓지 않을 분위기다.

12일 통신·방송업계에 따르면 KT, LG유플러스 등 국내 주요 인터넷TV(IPTV) 사업자들은 최근 독자 유료서비스를 개시한 넷플릭스와 여전히 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독자 서비스를 시작했더라도 국내 시장에서 파급력을 높이려면 넷플릭스 입장에서도 결국 IPTV·케이블방송에 콘텐츠를 반드시 공급하려 할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A통신사 관계자는 "통신사 미디어 부문 실무진들은 꾸준히 협상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며 "과거 무리한 수익 배분 요구로 결렬됐지만 아직도 협상 여지는 있다고 본다"고 전했다. B통신사 관계자도 "넷플릭스가 독자 서비스를 개시했다 하더라도 우리는 전략 변경 없이 계속 협상 중"이라고 밝혔다.

통신사들이 이렇게 넷플릭스 잡기 경쟁을 멈추지 않는 이유는 넷플릭스가 제공하는 해외 콘텐츠를 확보하는 것만큼 확실한 IPTV 콘텐츠 차별화 전략이 없기 때문이다. 이미 미드·실시간 동영상 등 해외 콘텐츠만을 차별화 포인트로 내세우며 치킨 게임을 벌이는 통신사 입장에서 넷플릭스 콘텐츠 확보는 전세를 단숨에 뒤집을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통신사들은 더욱이 세계 최대 시장임에도 직접 진출이 어려운 중국 시장을 공략하려면 넷플릭스 입장에서 한국이 매우 중요한 베이스캠프가 될 것이란 점을 잘 이해하고 있다. 이 때문에 대다수 통신·방송업계 관계자들은 넷플릭스의 독자 유료서비스 개시는 차후 몸값을 올리려는 단순 '위력시위' 정도로 판단하고, 이에 아랑곳하지 않은 채 수익배분의 접점을 찾아 협상 가능성을 타진하는 중이다. 당초 넷플릭스는 한국 진출 선언 초부터 9대1의 수익배분과 인터넷데이터센터(IDC센터) 무료 이용 등의 무리한 요구를 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는 다만 넷플리스가 올 2~4월쯤 예정된 SK텔레콤과 CJ헬로비전의 인수 승인 결정까지 섣불리 계약에 응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관련기사



윤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