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전자부품연구원, 자율주행자동차 핵심 ‘스캐닝 라이다’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

전자부품연구원은 18일 자율주행자동차의 핵심인 ‘스캐닝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센서 광학엔진 플랫폼’을 국내 순수기술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스캐닝 라이다센서는 3차원 형상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로 주변차량과의 거리와 이동하는 물체의 인식이 가능해 자율주행차량의 ‘눈’ 역할을 하는 핵심부품이다. 현재는 미국 벨로다인, 독일 아베오, 미국 ASC가 각각 몸체회전형과 거울회전방식, 광학계 고정 방식 센서로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라이다센서 시장은 지난해 9억달러의 규모로 성장했으며 2020년까지 33억달러로 연평균 29% 급성장이 예상된다. 국내는 100%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이번에 전자부품연구원이 개발한 스캐닝 라이다 광학엔진 플랫폼은 소형화에 유리한 거울회전방식으로 해외 제품과 스펙면에서 대등한 수준이다. 초당 30프레임의 속도로 200미터 거리의 모든 사물을 인식할 수 있다. 최현용 전자부품연구원 IT융합부품연구센터장은 “라이다센서는 광학엔진기술과 독립 플랫폼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 이라며 “이번 결과물은 다양한 자율주행 산업분야에 접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자동차 전장부품회사인 카네비컴을 통해 내년부터 상용화될 계획이다. 정종택 카네비컴 대표는 “전자부품연구원이 개발한 광학엔진 플랫폼은 높은 신뢰성과 양산성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췄다”며 기술이전의 배경을 설명했다.


관련기사



최현용(왼쪽) 전자부품연구원 IT융합부품연구센터장과 조현창 선임연구원이 라이다 광학엔진 플랫폼의 성능 시험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전자부품연구원<BR><BR>최현용(왼쪽) 전자부품연구원 IT융합부품연구센터장과 조현창 선임연구원이 라이다 광학엔진 플랫폼의 성능 시험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전자부품연구원





강광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