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기업가정신 지수 37년새 '반토막' 1976년 150.9 →2013년 66.6

한경연 보고서

공공부문 지수 하락이 원인

공무원 등 안정적 직업 선호

현재 우리나라의 기업가정신 지수가 지난 1970년대에 비해 절반 이하로 하락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이 27일 내놓은 '기업가정신 지수의 장기 변화 추이 분석' 보고서를 보면 1976년 150.9였던 기업가정신 지수가 2013년 66.6으로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조사기간 기업가정신 지수가 가장 낮았던 때는 금융위기가 발발한 2009년으로 63.3이었으며 이때를 기점으로 하락폭도 더욱 컸다.

한경연은 △경제활동 참가율 △수출 증감률 △인구 10만명당 사업체 수(10인 이상 기준) △대규모 사업체 비중(종업원 300인 이상) △국내총생산(GDP) 대비 설비·연구개발 투자비율 △법안가결률 △공무원 경쟁률(9급) 등 7개를 토대로 기업가정신 지수를 작성했다.

기업가정신 지수가 떨어진 것은 공공 부문 지수의 하락 때문이었다. 국회의 법안 가결률, 공무원 경쟁률 지표가 포함된 공공 부문의 기업가정신 지수는 1981년도를 100점으로 볼 때 1991년 90.7에서 2001년 70.2, 2013년에는 26.4로 크게 떨어졌다.

공무원 경쟁률(9급 기준)은 2013년에는 1977년에 비해 3.6배 상승해 민간기업 취업이나 창업보다는 안정적인 직장에 대한 선호현상이 강해졌다. 한경연은 "기업가정신을 발휘해 창업 등에 도전하기보다 안정적인 직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또 사업체 수는 늘지만 대규모 사업체 수가 줄어드는 것도 한경연의 기업가정신 지수 하락에 한몫했다. 한경연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 10만명당 사업체 수는 1976년 41.99개에서 2013년 132.26개로 3배 이상 늘었다. 그러나 사업체 규모별로 보면 인구 10만명당 중소규모·소규모 사업체 수는 꾸준히 증가한 데 반해 대규모 사업체 수는 1980년대 후반 이후 하락세를 이어왔다.

황인학 한경연 선임연구위원은 "대규모 사업체 비중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은 기존 기업의 성장 의지가 높지 않다는 방증"이라며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지나치게 기업 분포가 소규모로 편향돼 있어 생산성 향상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장애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