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서울경제TV] "MRO규제로 국내 MRO산업 침체" 동반위 보고서 내용은

지난해 6월 동반위 MRO 실효성분석 보고서 작성뒤 미공개

보고서 “가이드라인이후 MRO중기 매출액 성장률 정체”

"MRO기업에 납품하는 중소기업도 매출액 감소 어려움"

동반성장위원회가 23일 MRO가이드라인 상생협약 발표를 강행하고 있는 가운데 MRO대기업과 중소업계간 MRO규제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뜨거워지고 있다.

앞서 동반위는 지난해 6월 ‘MRO 가이드라인 효과및 실효성 분석’ 보고서를 만들었으나, MRO가이드라인이 국내 MRO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내용 탓에 공개하지 않았다. 당시 서울경제TV는 이 보고서를 단독 입수, MRO가이드라인의 문제점을 보도한 바 있다. 다음은 기사 내용.




중소MRO업체를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동반성장위원회가 지난 2011년 MRO가이드라인을 시행했지만, 오히려 대다수 중소MRO업체들의 매출액이 감소해 역효과가 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MRO가이드라인 시행 이후 MRO기업들에 납품하는 중소기업들의 매출액과 종업원수도 감소해 중소MRO업체들뿐만 아니라 중소 납품업체들 역시 어려움이 가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따라 MRO가이드라인이 과연 실효성이 있느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9일 서울경제TV가 단독 입수한 동반위의 ‘MRO 가이드라인 효과및 실효성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11년 11월 MRO가이드라인 시행 이후 큐브릿지·비즈엠알오 등 15개 중소MRO업체중 4개사를 제외한 11개업체의 매출은 줄거나 거의 변동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기업MRO에 대해 매출액 1,500억원, 또는 3,000억원 이상 기업들만 거래하도록 규제를 했음에도 중소MRO업체들의 실적은 거꾸로 감소한 것이어서 MRO가이드라인 무용론이 나오고 있다. 이 보고서는 지난달 동반위에서 작성해 실무위원회에서 논의한 자료다.


보고서는 결론격인 4장에서 가이드라인이 “MRO시장의 건강한 생태계 조성과 상호 동반성장 촉진 계기 마련”의 성과를 냈다고 밝히고 있다. “초기 13개 대기업에서 6개사로 감소됐고, 추가 진입 대기업이 없다는 점은 진입장벽 역할및 과열경쟁 방지 효과가 있다”는 설명이다.

관련기사



그러나 보고서 세부 내용은 이같은 결론과 상당부분 배치되는 실증 자료를 담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가이드라인 이후 2년간 매출이 감소후 증가한 업체는 큐브릿지와 이지메디컴 2개사이며, 2년 연속 늘어난 업체는 미주엠알오와 인정인터내셔널 2개사에 불과했다. 나머지 비즈엠알오 등 11개사 매출은 감소하거나 증감을 반복했다. 사정이 이렇자 동반위 보고서는 “MRO중소기업 전체 매출액 성장률은 점차 떨어지고 있으며, 가이드라인 이후 매출액 성장률은 정체”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보고서는 MRO기업들에 문구·베어링·기계공구 등을 납품하는 중소업체들 역시 매출감소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분석했다. 중소 납품업체의 평균 매출액은 가이드라인 시행해인 2011년 145억8,803만원에서 2012년 123억7,054만원, 2013년 120억16만원으로 줄어들었다. 2년만에 17.7% 감소한 것이다. 종업원수도 2011년 27.7명에서 2013년 25.1명으로 줄었다.

이와함께 가이드라인 시행 이후 중소MRO업체는 물론 중견·대기업MRO업체 이용비율은 줄어든 반면 고객인 구매기업들이 직접 소모성자재를 조달하는 비중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MRO시장 자체가 축소되고 있다는 의미로도 해석된다. MRO대기업 이용비중은 2011년 3.3%에서 2013년 2.7%로, MRO중견기업은 2.9%에서 2.3%로, MRO중소기업은 13.5%에서 10.4%로 감소했다. 반면 구매기업들이 직접 자재를 사서 쓰는 직접납품 비중은 64.7%에서 69.0%로 늘어났다.

동반위 가이드라인은 상호출자제한기업 중 내부거래 비중을 30%를 기준으로 이를 초과하는 MRO대기업은 계열사 외에 매출 규모 3000억원 이상인 기업만, 미만인 경우 매출 1500억원 이상 기업만 영업을 할 수 있도록 했다. 규제가 시작되면서 삼성은 계열사인 아이마켓코리아를 인터파크에 매각했고, SK행복나래는 사회적기업으로 전환했다. 한화·웅진 등은 아예 사업을 접었다. /양한나기자 one_sheep@sed.co.kr

이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