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더 멀어진 내집 마련의 꿈…13년 꼬박 모아야 서울 아파트 장만

작년 말 평균매매가 5억5,000만원, 2인 이상 가구 월 소득 356만2,900원

전세가 폭등에 전세금 마련 기간도 7.4->8.7년 늘어

서울 강남의 한 아파트 단지 /서울경제DB서울 강남의 한 아파트 단지 /서울경제DB


지난해 평균 소득을 버는 가구가 13년을 꼬박 모아야 서울에 아파트 한 채를 장만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주택가격 상승률이 가구 소득 증가율을 크게 웃돌면서 내집 마련을 위해 돈을 모으는 기간도 1년 늘었다.

28일 통계청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평균 5억5,129만9,000원, 세금·연금·4대 보험 등을 뺀 전국 2인 이상 가구의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356만2,900원으로 조사됐다.

한 푼도 쓰지 않고 12.9년을 모아야 서울에 아파트를 장만할 수 있는 돈이 마련되는 셈이다.


이는 지난해보다 1년 더 늘어난 수치다. 2014년 12월 기준 서울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4억9,892만7,000원, 연간으로 환산한 처분가능소득은 4,197만4,800원으로 11.9년을 모으면 아파트를 마련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관련기사



전세가 폭등에 전세금을 마련하는데 걸리는 기간은 더 큰 폭으로 늘었다. 지난해 12월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은 3억7,009만8,000원. 처분가능소득을 8.7년간 꼬박 모아야 전세를 구할 수 있는 수준이다. 2014년에는 전세가 평균이 3억904만6,000원으로 7.4년이면 전세금 마련이 가능했다.

서울을 벗어나더라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12월 수도권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3억7,337만원으로 이는 작년 처분가능소득을 8.7년간 모아야 장만할 수 있다. 내집 마련에 걸리는 기간은 2014년(8.2년)보다 6개월 가량 늘었다. 수도권 평균 전세가도 2014년 2억2,223만7,000원에서 지난해 말 2억6,356만1,000원으로 상승해 전세금 마련이 가능한 기간은 5.3년에서 6.2년으로 길어졌다.

전국 기준으로 보면 지난해 전체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은 전년 대비 1.9% 증가한 반면 주택 매매가격은 평균 3.5%, 주택 전세가격은 4.8% 급등했다.

주거 부담이 늘어난 데 따라 소비 절벽 현상에 대한 우려도 커졌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주택 매매가와 전세가가 소득보다 빠르게 늘면 미래 소비뿐만 아니라 당장 현재 소비도 줄이게 된다”고 말했다.


조민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