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초교 운동장 트랙 절반이상 납 기준치 초과

초등학교 운동장에 설치된 우레탄 트랙의 절반 이상에서 기준치를 넘는 납 성분이 검출됐다.

환경부는 지난해 5월부터 12월까지 서울·수도권 초등학교 30곳의 운동장 우레탄 트랙과 인조잔디 중금속 실태를 조사한 결과 트랙 25개 중 13개에서 한국산업표준(KS) 기준치 90㎎/㎏을 넘는 납이 검출됐다고 22일 밝혔다. 인조잔디에서는 중금속 성분이 기준치 이내로 검출됐다.

환경부는 이번 조사에서 납·카드뮴·크롬 등 6가지 중금속과 환경호르몬인 프탈레이트 7종의 함유량을 조사했다.

우레탄 트랙은 최근 제품일수록 납 성분이 적었지만 지난 2010년 11월 KS 기준 제정 이후 설치된 15곳 중 6곳에서 납이 검출됐다.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전국 초등학교 6,011곳 중 우레탄 트랙이 설치된 곳은 1,323곳, 인조잔디가 설치된 곳은 795곳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시공하면서 우레탄 트랙을 빨리 굳게 하려고 납을 추가하거나 중금속이 함유된 안료를 쓴 영향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프탈레이트 7종 중에는 플라스틱 제품을 유연하게 하려고 첨가하는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1종만 검출됐다. 프탈레이트는 KS 기준치가 없다.

환경부가 초등학교 30곳의 어린이 93명을 대상으로 우레탄 트랙이나 인조잔디를 이용하면서 노출될 수 있는 유해물질 12종의 위해성을 평가한 결과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와 납의 위해성이 일부 우려되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납 위해도는 평균 1.24로 일일 최대 허용량보다 1.24배 많이 노출됐다.

환경부는 교육부에 우레탄 트랙 바닥에 앉지 않기, 야외활동 후 손 씻기 등 어린이 행동요령 교육을, 국가기술표준원에는 프탈레이트 기준치 설정을 요청했다. /세종=임지훈기자 jhlim@sed.co.kr


관련기사



이재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