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종목·투자전략

두산공작기계 인수한 MBK, 투자자에 '보은'

두산공작기계 인수 구조 재편

9% 금리 RCPS 1,000억 발행

4개 기관에만 투자기회 제공





두산인프라코어 공작기계사업부 인수에 성공한 국내 최대 사모펀드(PEF)인 MBK파트너스가 국민연금 등 자사와 거래 관계가 있는 국내 ‘고객’들에 대한 보은(報恩)에 나섰다. 두산 공작기계 인수 구조를 재편해 최소 9% 수익을 보장하는 ‘알짜’ 투자 기회를 기존 펀드 출자자에만 부여하기로 한 것이다.

24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MBK파트너스는 총 1조1,300억원의 두산 공작기계 인수대금 중 1,000억원을 상환전환우선주(RCPS)로 조달하기로 결정하고 국민연금·새마을금고·행정공제회·수협 등 기존 펀드 출자자들에만 이에 대한 투자 기회를 제공한 것으로 전해졌다. 인수자금 중 선순위·후순위 인수금융(6,750억원)을 제외한 MBK파트너스가 자체적으로 조달해야 하는 보통주 투자분(4,550억원) 중 1,000억원을 재구조화해 일부 국내 기관들 몫으로 배분한 것이다.


RCPS는 주식과 채권의 성격을 동시에 지닌 우선주로 채권처럼 만기 때 현금으로 상환을 받거나 발행회사의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다. IB업계의 한 관계자는 “MBK파트너스가 별다른 투자 위험 없이 9% 수준의 고금리를 기대할 수 있는 중위험·중수익 성격의 RCPS 계정을 신설한 것은 자신과 거래 관계가 있는 기관에 대한 일종의 보상 차원으로 풀이된다”며 “신설 RCPS 계정과 기존의 후순위 인수금융(1,500억원)에 동시에 투자하는 조건으로 이들 4개 기관의 총 투자 규모는 2,000억원을 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사실 MBK파트너스가 이처럼 자사와 거래 관계가 있는 기관들에 한정해 투자 기회를 보장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MBK파트너스는 지난해 9월 국내 PEF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인수합병(M&A)인 홈플러스 거래를 마무리 지은 후 총 7조2,000억원가량의 인수대금 중 7,000억원을 9% 금리 조건의 RCPS로 조달하기로 결정하고 이번과 마찬가지로 이들 4개 기관에만 투자 기회를 부여했다. 당시 MBK파트너스는 해당 RCPS 계정 명칭을 ‘서비스 트렌치(Trench)’라 이름 붙여 이 같은 방식이 보상의 의미임을 명확히 한 바 있다.

한편 MBK파트너스는 이르면 이달 말이나 다음달 초까지 잔금 납입 등의 절차를 거쳐 두산 공작기계 인수를 마무리 지을 것으로 예상된다. MBK파트너스는 지난 2일 두산인프라코어와 두산 공작기계 인수를 위한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했다.

박준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