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클라우드 서비스, 공공부문에도 도입된다

조달청, 클라우드 제품부터 시범 계약…나라장터 공급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등 각종 정보통신기술(ICT) 자원을 통신망에 접속해 이용하는 방식인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 상품이 공공조달 시장을 통해 공급된다.

조달청은 ICT 활용 패러다임이 클라우드로 변화함에 따라 공공부문에서도 민간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상품을 최초로 계약해 28일부터 나라장터 종합쇼핑몰을 통해 공급한다고 27일 밝혔다.


이번에 시범 계약·공급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는 지란지교시큐리티의 ‘오피스하드 클라우드’로 자료 및 파일을 별도의 저장장치 없이 외부의 클라우드 서버(KT Ucloud)에 언제 어디서든 안전하게 저장·전송하고 신축적으로 활용·공유할 수 있는 상품이다.

이 상품은 클라우드 방식의 웹하드이므로 수요기관은 별도의 하드웨어 전산설비 구축과 유지관리가 필요 없고 이용기간(1년 단위)에 따라 요금을 내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 조달청이 사전에 단가계약을 체결하고 나라장터 종합쇼핑몰을 통해 공급하기 때문에 수요기관은 별도의 계약절차 없이 주문할 수 있고 주문 즉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관련기사



설치형 소프트웨어가 아니기 때문에 이후에도 다양한 부가기능을 덧붙여 서비스 확장이 용이한 특징도 가지고 있다.

조달청은 이번 시범계약을 시작으로 미래창조과학부의 클라우드 스토어에 등록된 서비스를 중심으로 웹오피스(한컴 넷피스) 등 다양한 클라우드 상품을 발굴해 공공부문에 공급할 방침이다. 또 운영 결과에 따라 클라우드 스토어와 나라장터 종합쇼핑몰 연계, 클라우드 서비스 조달 관련 별도의 계약 기준 마련 등 클라우드 특성에 적합한 공공 조달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정양호 조달청장은 “미래부·행정자치부 등 관계부처와 적극 협업해 공공부문의 민간 클라우드 이용을 활성화함으로써 공공부문 업무혁신과 민간 확산의 계기로 삼겠다”고 밝혔다.

/대전=박희윤기자 hypark@sed.co.kr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