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트럼프, '대규모 경기침체론'으로 또 논란

잇단 구설로 논란의 중심에 선 미국 공화당 대선 레이스의 선두주자 도널드 트럼프가 이번에는 ‘대규모 경기침체론’을 제기해 경제학계의 비판을 받고 있다.

트럼프는 3일(현지시간) 게재된 위싱턴포스트(WP)와의 인터뷰에서 “높은 실업률과 과대평가된 증시 상황이 맞물려 매우 큰 규모의 경기침체(very massive recession)가 올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우리는 경제 거품, 금융 거품 위에 앉아 있다”고 지적하며, 미국 실업률도 실제로는 20%대에 이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같은 그의 발언에 경제 전문가들은 경제가 침체에 이를 만큼 나쁜 상황이 아니라며 반박론을 쏟아내고 있다. 함 반홀즈 유니크레딧그룹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우리는 경기침체로 가지 않고 있다”면서 “특히 미국의 실업률은 20%가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미국 정부가 발표하는 공식통계상 미국의 현재 실업률은 5% 수준이며, ‘풀 타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사람까지 감안한 광의의 실업률도 9.8%로 집계된다.

관련기사



라진 다완 조지아주립대 경제예측센터 국장도 “증시가 붕괴되거나 경기침체가 올 것이라고는 예상할 수는 없다”며 “시장에 큰 문제가 있거나 경제의 범주를 벗어나는 재앙적 사건이 발생하지 않는 한 경기침체는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