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맞벌이-홑벌이 저축 비율 비슷하다"

국민연금硏 '저축실태 분석'

고소득일수록 홑벌이 사교육비 더 많이 지출

맞벌이가 홑벌이보다 저축을 많이 하는 건 아니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또 고소득층일수록 홑벌이가 맞벌이보다 자녀 사교육비를 더 많이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국민연금연구원은 ‘생애주기별 소비 및 저축실태 분석에 따른 노후준비 전략’ 연구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연구진은 2014년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활용해 자녀가 있는 부부 가구를 맞벌이와 홑벌이로 구분해 소득분위별로 소비지출과 저축실태의 차이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중간소득 수준인 소득3분위에서 생애주기 전체에 걸쳐 총저축액과 저축비율에서 홑벌이가 맞벌이보다 높거나 차이가 없었다.


특히 사교육비 지출이 많아지는 자녀학령 후기(가구주 나이 40~52세, 첫 자녀 나이 13~19세)에 홑벌이가 맞벌이보다 사교육비 지출 비중이 높았다.

관련기사



소득 중상위 계층인 소득4분위도 맞벌이와 홑벌이의 총저축액·저축비율 차이는 물론 사교육비 지출 비율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최상위 소득계층인 소득5분위(소득상위 20%)도 총저축액이 자녀 학령 후기에 맞벌이가 홑벌이보다 많았을 뿐이었고 저축비율은 맞벌이와 홑벌이 간에 차이가 없었다. 반면 소득 5분위의 홑벌이가 맞벌이보다 자녀 사교육비 지출 비율이 오히려 더 높았다.

연구원 관계자는 “결론적으로 맞벌이가 홑벌이보다 저축비율이 높은 것은 아니었다”면서 “저소득층에서만 맞벌이의 자녀 사교육비 지출 비율이 홑벌이보다 높았고 고소득층에서는 홑벌이가 맞벌이보다 자녀 사교육비 지출 비율이 오히려 높았다”고 설명했다. /임지훈기자 jhlim@sedaily.com

김성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