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서울경제TV] CJ제일제당 ‘김치유산균’ FDA 식품원료 등재

백수오·감태 등 이어 5번째로 美FDA 정식 등재

김치서 3,500개 유산균 분석… 가려움증 개선 입증

분유·선식 등 김치유산균 접목 제품 개발

한국·홍콩 등 6개국 특허 이어 미국 특허 출원중







[앵커]


한국 전통 발효식품 김치에서 유래한 식물성 김치유산균이 미국 식품의약국, FDA의 식품 원료로 공식 등재됐습니다. 백수오, 흑삼 등에 이어 국내에서 5번째입니다. 한지이기자가 보도합니다.

[앵커]

CJ제일제당의 김치 유산균이 국내 원료 중에서는 5번째로 미국 FDA로부터 안전성을 공식 인정받았습니다.

앞서 FDA 승인을 받은 국내 원료는 백수오와 감태, 흑삼과 바이오게르마륨 등 총 4개. 여기에 CJ제일제당의 ‘바이오 피부 유산균 CJLP133’까지 정식으로 등재된 겁니다.


이 유산균은 수 백여개 김치에서 분리한 3,500개 유산균을 분석해 만든 것으로, 피부 가려움증 개선 기능성이 입증된 토종 김치유산균입니다. 안전성과 임상실험 결과 등 미국 식품의약국의 세부 항목별 요건을 모두 충족시켰습니다.

관련기사



[인터뷰] 김혜진 연구원 / CJ제일제당 식품연구소

이번에 김치 유산균의 미국 식품의약국 등재는 김치유산균이 효과나 안정성 부분에서 세계적으로 공신력있는 기관을 통해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생각됩니다.

CJ제일제당은 먼저 미국 내 김치유산균을 유통·확산시킬 수 있는 기반을 탄탄하게 다지고, 분유·선식 등 김치유산균을 접목한 다양한 식품들을 개발할 예정입니다. 이어 해외 수출에 힘써 글로벌 유산균 시장을 선도해 나갈 계획입니다.

바이오 피부유산균 CJLP133은 지난해 9월 중국 수출에 이어, 올해 2월부터는 일본 코스트코 24개 전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습니다. 현재는 북미와 유럽 시장을 겨냥해 현지 업체와 수출 협의 중에 있습니다. 제품에 사용된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은 한국·중국·일본·홍콩·호주·싱가폴 등 6개국에 특허 등록이 완료됐으며, 미국은 특허 출원 중입니다.

한미약품, 셀트리온에 이어 CJ제일제당이 세계시장에서 기술력을 인정받으면서 ‘K-바이오’ 파워가 계속 빛을 발하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한지이입니다.

[영상취재 이창훈 / 영상편집 이한얼]

한지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