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2030년 서울 인구 3명중 1명은 어르신

60세 이상 320만명 달할듯

서울 인구의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됨에 따라 오는 2030년에는 서울에서 60세 이상의 고령 인구가 3명 중 한 명꼴인 320만명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는 세계 주요 도시 중 여덟 번째로 높은 순위다.

미국 컨설팅 업체인 맥킨지는 12일 발표한 세계 소비자 보고서에서 2030년 서울 인구의 31%를 60세 이상이 차지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일본 도쿄는 2030년에 60세 이상 인구가 1,320만명에 달해 세계에서 가장 고령자가 많은 도시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예상됐으며 일본 오사카(760만명)가 2위였고 미국 뉴욕(570만명), 독일 라인루르(440만명), 영국 런던(380만명), 미국 로스앤젤레스(350만명), 일본 나고야(340만명)가 뒤를 이었다. 이 가운데 뉴욕과 런던·로스앤젤레스를 제외한 상위 도시들은 60세 이상 인구 비중이 30%를 웃돌 것으로 전망됐다.


고령자 인구 비율이 높은 도시로는 한국의 안동과 서귀포가 각각 상위권에 올랐다. 안동은 2030년에 환갑이 넘은 인구 비중이 47%에 달해 세계 5위에, 45%인 서귀포는 14위에 각각 오를 것으로 예상됐다. 세계에서 60세 이상 인구 비중이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된 곳은 미국 플로리다주의 펀타고다로 절반이 넘는 57%였다.

관련기사



한편 이처럼 인구 중 노인 비중이 늘면서 세계 각국의 산업 지형도 바뀔 것으로 보인다. 맥킨지는 고령자가 늘어나면서 의료비 지출이 특히 커지고 식당과 호텔·교육·건강·레저·문화 등 서비스 산업 비중이 높아질 것이라며 글로벌 기업들이 인구 구성 변화를 이해하고 그에 적합한 경영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경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