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세월호 인양 7월까지 끝낸다

선수 들기·리프팅빔 설치 등

해수부, 내달부터 고난도 공정

2년3개월 만에 선체 통째 인양



지난 2년간 진도 앞바다에 잠겨 있던 세월호가 오는 7월 인양된다.

해양수산부는 1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세월호 선체를 통째로 인양하기 위한 작업을 다음달부터 본격 시행한다고 밝혔다. 연영진 해수부 세월호인양추진단장은 “7월 인양을 목표로 선수(뱃머리) 들기와 리프팅 프레임 설치 등 고난도 공정에 돌입했다”고 설명했다.

해수부는 시신 미수습자들과 사고 당시 선체를 온전히 보존하기 위해 세월호를 절단하지 않고 인양하는 방식을 택했다. 세월호의 길이는 145m, 인양하중은 약 1만톤(수중 8,300톤)으로 피격으로 선체가 두 개로 절단됐던 천안함(1,000톤)의 10배에 달한다. 세월호가 인양되면 선체 절단 없이 인양된 세계 최대의 선박이 된다.


선체를 통째로 인양하는 작업은 매우 까다롭다. 인양은 옆으로 누워 있는 세월호와 해저면 사이에 리프팅빔(인양빔)을 설치한 후 와이어를 걸어 수면 위로 서서히 올리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관련기사



세월호를 인양하기 위해서는 가라앉은 선체에 부력을 줘 무게를 줄이는 것이 필수다. 이를 위해 세월호 인양을 맡은 중국 업체 상하이샐비지는 다음달까지 선체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동시에 에어백 27개와 폰툰(물탱크 형태의 대형 에어백) 9개를 설치하는 작업을 마무리할 방침이다. 이 작업이 마무리되면 약 5,000톤의 부력이 확보돼 수중 선체 중량은 3,300톤까지 감소한다. 해수부는 상대적으로 선미(배의 꼬리·2,600톤)가 무겁기 때문에 700톤의 힘만 있으면 선수 부분을 들어 올릴 것으로 보고 있다. 선수를 약 5도가량 들어 올려 해저면과 선체 사이로 인양용 리프팅빔 19개를 집어넣고 현재 약간의 공간이 있는 선미와 해저면 사이에도 8개의 리프팅빔을 설치한다. 리프팅빔 양 끝에 와이어를 걸고 1만2,000톤급 리프팅 프레임과 연결해 세월호를 평형 상태로 만든 후 수면 위로 서서히 상승시킬 예정이다.

수중으로 올려진 세월호는 7월 반잠수 상태로 대기 중인 플로팅 도크(floating dock) 위에 올려지게 된다. 플로팅 도크로 인양된 세월호는 2~3일간 천천히 부상, 침몰 후 2년3개월 만에 수면 위로 모습을 드러낼 예정이다. 플로팅 도크는 예인선을 이용해 전남에 위치한 항구로 옮겨진다. 이후 세월호는 대형 운송장비인 ‘모듈 트랜스포터(M/T)’에 의지해 육상에 거치된다. 세월호가 옮겨질 항구로는 목포신항과 광양항이 거론되고 있다.

연 단장은 “현재 인양 현장은 수심 44m에다 유속이 초당 최대 1.27m에 달하고 수중 시야는 0.2~1m에 불과할 만큼 열악하다”면서 “모든 자원과 역량을 집중해 인양을 성공적으로 완수할 것”이라고 전했다.

세월호 참사 피해자에 대한 배·보상은 접수된 1,298건(지난해 9월30일 기준) 가운데 1,291건(99%)의 심의가 완료됐다. 심의 통보서를 받은 신청인들이 제출한 동의서에 따라 현재까지 916건, 1,035억원이 지급됐다. /세종=구경우기자 bluesquare@sedaily.com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