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한국경제 무역의존도 8년만에 최저

작년 GNI 대비 수출입 비율 88.1%로 10.5%p 하락

내수성장이 아닌 수출부진 탓

수출이 쪼그라들면서 우리나라 경제의 무역의존도가 떨어지고 있다. 수출입 감소분을 커버할 만큼 내수기반이 탄탄하지 못한 상황이라 우리나라 경제에 부정적인 신호라는 해석이 나온다.

1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총소득(GNI) 대비 수출입 비율은 88.1%로 2014년 98.6%보다 10.5% 포인트 하락했다. 지난해 GNI 기준 무역의존도는 2007년 81.6% 이후 8년 만에 최저치다.


무역의존도는 한국의 수출 규모가 커지면서 상승 추세를 이어왔다. 지난 2007년 처음으로 80%를 넘어섰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수출 중심 성장이 가속화하면서 2008년 104.5%를 기록하며 100%를 돌파했다. 2009년(94.6%)과 2010년(99.8%)에는 90%대로 떨어졌지만 2011년 113.5%로 최고점을 찍었다. 그러나 세계교역량이 축소하면서 ▦2012년 112.8% ▦2013년 106.1% ▦2014년 98.6% 그리고 지난해 88.1%로 4년 연속 하락했다.

관련기사



우리나라의 무역의존도는 30%대인 일본, 미국 등 주요 선진국보다 월등히 높다. 이에 따라 그동안 세계 경제의 외풍에 취약한 경제구조를 탈피하기 위해선 내수시장을 활성화해 무역의존도를 낮춰야 한다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그러나 지난해 무역의존도 하락의 경우 내수 시장 확대보다 수출 감소에서 비롯됐다는 게 문제다. 한은 관계자는 “지난해 무역의존도가 낮아진 것은 유가 하락 등으로 수출입 규모가 축소된 영향이 크다”고 말했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상품 수출액은 5,488억 달러로 전년보다 10.5% 줄었고 상품 수입액은 4,285억 달러로 18.2% 급감했다. 우리나라에서 수출 부진은 성장률 저하와 직결된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내수와 수출이 함께 확대되면서 무역의존도가 낮아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현재 우리나라는 수출 감소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좋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연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