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창동역 'K-팝 공연장' 도시재생사업으로

노원·도봉구, 부천 등 선정

6년 간 최대 250억 예산지원

서울 노원·동봉구, 경기 부천시 등 5곳이 올해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사업으로 선정돼 6년간 최대 250억원의 정부 예산을 지원받는다. 또 중심시가지 근리재생형 9곳, 일반 근린재생형 19곳 등 총 33곳이 ‘2016년도 도시재생사업’ 지원 대상지역으로 선정됐다.

정부는 1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6차 도시재생 특별위원회를 열어 ‘2016년도 도시재생사업 지원 대상지역 확정 및 특화구상’과 ‘도시재생사업 종합지원방안’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특위는 이날 지난 한 해 지자체 공모를 거쳐 선정된 총 33곳의 도시재생 지원 대상지역을 확정·발표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경제기반형사업은 공공청사 이전부지, 유휴항만 등을 거점으로 도시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 사업으로 6년간 최대 250억원을 지원한다. 서울 노원·도봉구, 대구 서·북구, 인천 중·동구, 대전 중·동구, 경기 부천시(원미구)가 선정됐다. 서울 노원·도봉구가 진행하는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사업은 이전하는 철도차량기지를 활용해 K팝 공연장과 특화 산단을 유치하고 서울 동북권 신경제중심지를 조성하는 프로젝트다.

관련기사



중심시가지 근린재생형은 과거 도시의 행정·업무·상업 중심지였던 원도심을 살리는 사업으로 5년간 최대 100억원을 지원한다. 충주시·김천시 등 9곳이 지원 대상에 선정됐다. 충주시가 진행하는 도시재생사업은 충주관아골·감영거리 등 역사문화자산을 관광 거점화하고 청년창업 육성을 지원해 충주역 이전으로 쇠퇴한 원도심을 활성화하는 프로젝트다.

일반 근린재생형은 낙후된 주민생활환경을 개선해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최대 5년간 50억원을 지원한다. 지난해 공모 당시 밝힌 최대 60억원 지원에서 50억원으로 줄었다. 나주시, 부산 서구 등 19곳이 지원대상으로 확정됐다. 부산 서구의 근리재생형 사업은 피난민 정착촌(비석마을)으로 형성된 경사지 마을에 양호한 조망권을 살려 행복주택을 짓고 공폐가를 활용한 미니주택 등을 조성하는 프로젝트다.

권경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