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서울경제TV] 불황의 늪 ‘조선업’ 하청업체 2만명 감축

조선업 불황에 하청업체 2만여명 실직우려

‘조선 빅3’ 수주절벽에 대량해고 가시화

현대중공업, 하청업체 1,500명 해고 예고

하청업체 추가 인력감축·임금 삭감 예정

[앵커]

불황의 늪에서 허덕이는 국내 대형 조선 3사가 해양플랜트 수주까지 끊기면서 하청 노동자들의 대량해고가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현대중공업, 대우조선 등 ‘조선 빅3’의 자체 구조조정에 이어 하청업체까지 감원이 불가피해 진 것입니다. 특히 조선업이 밀집된 거제, 통영 등 지역경제까지 휘청이고 있습니다. 김혜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조선업계 불황에 2만여명의 노동자들이 일터를 잃을 처지에 놓였습니다.

현대중공업·대우조선해양·삼성중공업 등 ‘조선 빅3’가 신규 수주없이 부실만 쌓이면서, 연내 인도 예정인 해양플랜트가 마무리되면 노동자들의 고용유지는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보통, 해양플랜트는 1기를 지을 때 수천명 또는 1만여명씩 투입됩니다. 조선업이 호황일 때는 1기가 완성되면 다른 해양플랜트로 옮겨 일하면 되지만 현재 상황은 다릅니다. 수주가 끊겨 내년에는 일감이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올해 현대중공업의 해양플랜트 부문 수주 목표는 10억 달러. 그러나 올해 3월 기준 200만달러에 그치며 전년동기 대비 97.6% 급감했습니다.

관련기사



대우조선의 경우 지난해 해양 부문 수주가 아예 없고 올해 들어서도 ‘0’입니다. 삼성중공업 역시 상황은 마찬가지입니다.

이 같은 수주절벽에 기업들의 몸집줄이기는 인력감축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현대중공업의 경우 해양플랜트 ‘쉐브론’ 공사에 투입된 10여개 업체 1,500명에 대해 해고 예고를 통지했습니다.

오는 6월까지 최소 가동 인원인 4,000여명만 남기고 추가 인력감축에 나설 예정입니다. 아울러 이들 해양플랜트 하청 인력에 대한 임금 삭감도 전방위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이 같은 최악의 수주불황과 대규모 감원으로 지역 경제는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조선업 시설이 밀집된 거제, 통영 등 이른바 ‘동남권 벨트’의 지역 경제는 동반 추락하고 있습니다.

시름이 깊어지고 있는 조선업계에 휴유증을 최소화할 묘안과 사회적 안전장치 마련이 절실한 상황에서 내일 정부의 조선업 구조조정자금 조달방안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김혜영입니다.

김혜영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