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단독] 1기 신도시 분당 파크타운, 리모델링 대신 첫 재건축

재건축 연한 단축 이어

'1+1 쪼개기' 허용으로

사업성 크게 개선 영향

재건축 vs 리모델링 놓고

다른 단지도 논의 본격화

파크타운 아파트 개요파크타운 아파트 개요




파크타운 아파트 3개월간 평균 실거래가.파크타운 아파트 3개월간 평균 실거래가.


아파트 리모델링 사업이 주를 이루던 수도권 1기 신도시에서 재건축 사업을 추진하기로 한 아파트 단지가 처음 등장했다. 분당신도시의 파크타운 단지가 그 주인공이다. 정부의 규제완화에 따라 재건축 연한이 30년(종전 40년)으로 단축된 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중대형 아파트 중심의 1기 신도시에서 ‘1+1 쪼개기 재건축(대형 평수를 중소형 2채로 쪼개는 방식)’ 방식을 선택할 경우 ‘리모델링’보다 재건축이 낫다는 판단 때문으로 풀이된다.


◇분당 파크타운 재건축 추진=25일 현지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분당 ‘파크타운 아파트 입주자 대표회의’는 최근 재건축 사업을 추진하기로 의결했다. 분당신도시에서 재건축 사업 추진을 공식적으로 표명한 첫 번째 아파트 단지다. 이 아파트는 대부분 100㎡(공급면적 기준)형 이상의 중대형 평형으로 구성돼 있으며 4개 단지, 3,000여가구가 넘는, 분당에서도 손꼽히는 대규모 아파트다.

파크타운아파트의 한 관계자는 “재건축 사업은 우선 입주자 의결과 주민 동의를 받고 추진위원회를 결성하는 순으로 진행되는데 이제 첫 단계를 시작한 것”이라며 “본격적으로 추진하기까지는 시간이 많이 걸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1993년 입주한 파크타운아파트는 재건축 연한 단축으로 재건축 가능 시기가 당초 오는 2033년에서 2023년으로 10년 줄었다.


수내동 B공인의 한 관계자는 “연한 단축으로 재건축에 들어가려면 7년 정도가 남았지만 예전에 비하면 기간이 많이 단축돼 이제는 재건축 사업 얘기를 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며 “입주가 다소 늦은 파크타운아파트가 재건축을 추진한다면 서현동 시범단지 등 입주가 더 빠른 곳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재건축 vs 리모델링, 논의 본격화되나=시장에서는 당장 추진이 어렵다고 하더라도 파크타운아파트가 1기 신도시 중에서 리모델링이 아닌 재건축 사업을 의결했다는 것 자체가 의미 있다고 보고 있다. 재건축 가능 연한이 30년으로 완화되면서 1기 신도시에서도 리모델링이 아닌 재건축 사업을 고민할 수 있을 정도로 시기가 가까워져 왔음을 의미한다.

덧붙여 용적률이 높고 중대형 아파트가 많은 분당·일산 등 1기 신도시의 경우 ‘1+1 쪼개기 재건축’ 허용으로 재건축의 사업성이 크게 개선돼 리모델링이 아닌 새로운 선택지를 고민할 수 있게 됐다는 사실이다.

전문가들은 1기 신도시의 경우 현재 리모델링을 선택한 단지들이 늘고 있지만 이 같은 점을 들어 재건축 추진 단지도 늘어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한 예로 분당신도시의 주요 아파트 용적률은 대부분 200% 이상이다. 재건축 사업 추진시 상향된 용적률을 확보한다면 기존 130~220㎡형의 중대형 아파트를 60~80㎡ 규모의 중소형 아파트로 줄이고 나머지 한 채를 임대용으로 운영하는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김규정 NH투자증권 부동산전문위원도 “중대형 아파트가 많은 경우 면적을 넓히는 리모델링보다 1+1 재건축을 통해 면적을 줄이는 방식으로 추진하는 것이 오히려 사업성이 나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분당 신도시 전경./연합뉴스분당 신도시 전경./연합뉴스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