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불화 보며 소원 비세요

국립중앙박물관 '북장사 괘불'

다보성갤러리 '깨달음의 미학' 등

석탄일 맞아 불교미술展 잇따라

경북 상주의 ‘북장사 괘불’ /사진제공=국립중앙박물관경북 상주의 ‘북장사 괘불’ /사진제공=국립중앙박물관


높이가 자그마치 13.3m에 달하는 보물 제1278호 ‘북장사 괘불’이 국립중앙박물관 2층 서화관 불교회화실에 걸렸다.

걸개그림 형식의 불화를 가리키는 ‘괘불’은 야외 법회 때 멀리 있는 사람들도 두루 부처를 볼 수 있게끔 초대형으로 제작됐다. 그중에서도 유난히 큰 ‘북장사 괘불’은 지금껏 이곳에 전시된 괘불 중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석가탄신일을 앞두고 국립중앙박물관은 ‘상주 북장사 괘불-소원을 들어주는 부처’전을 10일 개막했다.

보살과 제자들을 모아놓고 설법(說法)하는 그림에서 일반적으로 부처는 대좌에 앉은 자세로 그려졌지만 ‘북장사 괘불’에서부터는 서 있는 자세로, 그리하여 긴 화면에서 그 존재감이 압도적으로 부각되도록 표현됐다. 1688년 신도들과 승려 165명의 시주로 제작된 이 괘불은 극심한 가뭄이 닥친 경북 상주지역에 비를 청하는 ‘기우제’에서 사용될 정도로 영험했다.


괘불 전시와 연계해 불교회화실을 채운 여러 불화들은 옛사람들의 염원을 보여준다. 박물관이 지난해 구입해 이번에 처음 공개한 보물 제1204호 ‘관음보살도’는 자비를 베풀어 중생을 구제하는 부처 그림이다. 죽은 사람을 극락으로 보내주는 ‘아미타불’, 아픈 사람의 병을 낫게 해주는 ‘약사불’도 나란히 걸렸다. 귀여운 동자승은 재생을 상징하는 연잎을 머리에 쓰고 있는데 씨가 많은 오이를 안고 있는 것은 ‘다산’을, 거북이를 품에 든 것은 ‘장수’를 기원하는 의미다. 이 외에도 새롭게 보물로 지정된 고려시대 나한도 7점도 볼 수 있다. 차분한 감상만으로도 소원이 이뤄질 듯하다. 전시는 11월 6일까지.

관련기사



한편 부처님 오신 날을 맞아 다보성갤러리에서는 불교 문화재와 현대 불교 미술품을 선보이는 ‘깨달음의 미학’전을 18일까지 연다. 고려시대 것으로 추정되는 청자철화금채약사여래불상, 물고기와 당초 무늬가 새겨진 경전함, 삼국시대 금동여래삼존불 등이 전시됐다. 더불어 ‘무소유’의 법정 스님을 비롯해 대한불교조계종 종정을 지낸 청담 스님, 서옹 스님 등의 글씨와 그림이 출품됐다.

571년 고구려에서 제작된 국보 제85호 ‘금동 신묘명 삼존불’ /사진제공=삼성문화재단571년 고구려에서 제작된 국보 제85호 ‘금동 신묘명 삼존불’ /사진제공=삼성문화재단


봄소풍을 겸하기에는 경기도 용인에 위치한 호암미술관의 ‘세 가지 보배: 한국의 불교미술’전이 더없이 좋다. 3가지 보배란 깨달음의 부처인 ‘불보’, 그 가르침인 ‘법보’, 수행하는 승려를 뜻하는 ‘승보’를 말한다. 571년 고구려에서 제작된 국보 85호 ‘금동 신묘명 삼존불’, 706년 통일신라 때 만든 ‘신룡2년명 사리장엄구’, 세하고 화려한 고려 불교미술의 정수를 볼 수 있는 국보 235호 ‘감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 보현행원품’, 조선에서 쓰였던 ‘나전칠기 용봉문 경상’과 18세기 ‘팔상도’ 등 불교 유물로 삼국시대부터 조선까지 꿰뚫는다. 국보 7건, 보물 7건 등 40여 유물이 전시됐다. 11월 6일까지.

호암미술관이 ‘한국의 불교미술’전에 선보인 18세기 조선의 ‘팔상도’ 중 2번째 폭인 ‘비람강생상’ /사진제공=삼성문화재단호암미술관이 ‘한국의 불교미술’전에 선보인 18세기 조선의 ‘팔상도’ 중 2번째 폭인 ‘비람강생상’ /사진제공=삼성문화재단


조상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