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베네수엘라 또 국가비상사태...좌파 마두로 정권 벼랑끝에

경제실정에 국민들 시위 잇달아

野선 "국민소환투표 실시" 촉구

마두로, 정권 붕괴 위기 닥치자

오너 기업인 체포등 초강경 대응

美는 쿠데타 가능성 등 압박 나서

남미 좌파 정권의 상징인 베네수엘라가 또다시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최악의 경제난으로 브라질에 이어 좌파 정권이 붕괴 위기에 처한 가운데 니콜라스 마두로 대통령은 조업중단 공장을 몰수하고 오너 기업인 체포 방침을 밝히는 등 초강공책으로 응수하는 모습이다. 미국 정보당국은 경제실정에 따른 쿠데타 가능성을 제기하며 마두로 정권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15일 AP·AFP·뉴욕타임스(NYT) 등 외신들은 베네수엘라 사회주의 정권을 이끄는 마두로 대통령이 14일 조업을 중단한 공장을 압류하고 해당 기업주의 체포를 명령했다고 보도했다. 공장 몰수와 기업주 체포 명령은 13일 마두로 대통령이 경제난 대응을 위해 60일간의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한 지 하루 만에 나왔다. 마두로 대통령은 1월에도 두 달간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한 바 있다. 베네수엘라 대통령은 국가비상사태 때 의회 동의 없이 입법권을 행사하고 세금 인상과 식량 수입 등 각종 비상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기업 활동과 금융거래 등의 통제도 강화할 수 있다.


마두로 대통령은 14일 수도 카라카스 이바라 광장에서 연설을 통해 “부르주아(자본가)들에 의해 마비된 생산능력을 회복하는 데 모든 수단을 동원할 것”이라며 “국가 경제를 파괴하려고 생산을 중단한 자는 교도소로 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대파를 힘으로 누르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것이다.

관련기사



베네수엘라는 경제위기가 가중되면서 식량 부족과 정전·단수가 이어지고 절도와 약탈행위가 전국적으로 급증하는 등 서민들이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상황에 봉착했다. NYT는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인 베네수엘라가 저유가 속에서 올 하반기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며 “그 여파로 현재 식량과 의약품 수입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여기에 베네수엘라 최대 식품업체인 폴라그룹을 비롯한 기업들은 마두로 정부의 실정 때문에 물가가 걷잡을 수 없이 올라 정상조업이 어렵다며 공장 가동을 잇따라 중단해 생필품 부족 사태는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고 있다.

좌파 정부가 경제난 대응에 무능한 모습을 보이면서 국정은 극도의 혼란에 빠진 상태다. 지난해 12월 총선에서는 16년 만에 야당인 민주연합회의(MUD)가 과반 의석을 확보했으며 집권 여당인 통합사회당(PSUV)은 총의석(167개) 중 46석을 차지하는 데 그쳤다. 이후 MUD는 마두로 대통령을 권좌에서 축출하기 위해 국민소환 투표를 추진, 현재까지 180만명을 넘는 국민이 서명에 참여해 1차 요건이 충족된 상태다. 하지만 베네수엘라 선거당국이 투표를 위한 추가 절차를 진행하지 않자 분노한 국민들이 집회와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야권 지도자인 엔리케 카프릴레스는 “베네수엘라 정국은 언제 폭발할지 모르는 폭탄과 같은 상황”이라며 국민투표 실시를 촉구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 정보당국은 “마두로 대통령이 측근 또는 군부세력의 쿠데타로 축출될 수 있다”며 마두로 정권에 대한 간접적인 압박에 나서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익명의 미 정보당국 고위관계자들을 인용해 “(베네수엘라에서) 본격적인 폭력사태가 일어날 수 있고 당국자들이 쿠데타 문제에 극도로 겁을 내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마두로 정부는 “베네수엘라 경제위기는 외세의 공세 때문”이라며 미국을 지목하고 외국의 침략에 대비하기 위한 군사훈련을 명령한 상태다.

손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