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조선업 살리기위해 수십조 쓰면서 개성공단 업체 지원에 1조원도 안 쓴다니"

[개성공단 지원방안에 대한 입주기업들 반응]

"보상한도 작다" 불만족.

정부의 개성공단 피해 지원방안 발표에 대해 입주기업들은 만족스럽지 않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피해액에 비해 여전히 보상한도가 적게 책정됐기 때문이다. 의류 제조사업을 해온 A대표는 “원부자재와 완제품 등 유동자산 피해에 대해 특별지원 차원에서 최대한 지원하기 위해 10억원이었던 한도를 22억원으로 올렸다고는 하지만 개성공단에 있는 우리 회사의 재고가치는 30억원이 넘는다”며 “한 푼도 못 받는 것보다는 지원을 받는 편이 낫지만 억울한 마음이 드는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조선업 지원에 비해 개성공단 피해보상액이 적다는 지적도 나온다. 전자부품을 제조하던 B대표는 “조선업체를 살리기 위해 수 십조를 지원하면서 정치적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정부를 믿고 개성공단에 들어갔던 입주기업들을 위해서는 1조도 안 쓴다”며 볼멘소리를 했다.

관련기사



해고되거나 퇴사한 개성공단 주재원에게 평균 임금의 6개월분을 지급하는 방안에 대해선 꼭 필요한 대책이라고 입을 모았다.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대다수는 인원을 반으로 줄여도 적자가 나고 있어서 개성공단 주재원으로 일했던 직원을 도울 수 없는 상황이다. 개성공단에서 10년 넘게 신발을 제조한 C기업의 대표는 “공단 가동 중단 이후 은행 등에서 급한대로 9억원을 빌려 운영자금으로 쓰고 있는데 이 마저도 제대로 갚을 수 있을 지 벌써부터 걱정이 앞선다”며 “해고한 직원들에게 미안한 마음이 컸는데 정부에서 주재원 대상으로 임금을 지원한다고 해 조금이나마 짐을 덜었다”고 말하기도 했다.

백주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