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 지원에 비해 개성공단 피해보상액이 적다는 지적도 나온다. 전자부품을 제조하던 B대표는 “조선업체를 살리기 위해 수 십조를 지원하면서 정치적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정부를 믿고 개성공단에 들어갔던 입주기업들을 위해서는 1조도 안 쓴다”며 볼멘소리를 했다.
해고되거나 퇴사한 개성공단 주재원에게 평균 임금의 6개월분을 지급하는 방안에 대해선 꼭 필요한 대책이라고 입을 모았다.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대다수는 인원을 반으로 줄여도 적자가 나고 있어서 개성공단 주재원으로 일했던 직원을 도울 수 없는 상황이다. 개성공단에서 10년 넘게 신발을 제조한 C기업의 대표는 “공단 가동 중단 이후 은행 등에서 급한대로 9억원을 빌려 운영자금으로 쓰고 있는데 이 마저도 제대로 갚을 수 있을 지 벌써부터 걱정이 앞선다”며 “해고한 직원들에게 미안한 마음이 컸는데 정부에서 주재원 대상으로 임금을 지원한다고 해 조금이나마 짐을 덜었다”고 말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