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변보경 사장 "코엑스, 제2 창업수준 인력·조직 개편"

창사 30주년 '글로벌 마이스기업' 청사진 밝혀

컨벤션·해외사업 위주 조직 운영

전시장 자체 임대사업 활성화 등

수익구조 바꿔 신성장 재원 확보

전시회 해외수출 7개로 늘리고

유망전시회 M&A도 추진할 것

코엑스 변보경사장코엑스 변보경사장




변보경(사진) 코엑스 사장은 “글로벌 마이스 전문 기업으로 전환하기 위해 오는 10월까지 고령 인력을 구조조정하고 연말에 신입 및 전문경력직을 대거 뽑을 방침”이라며 “제2의 창업 수준으로 조직 개편을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변 사장은 코엑스 창사 30주년을 맞아 30일 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변 사장은 “전시 컨벤션 사업에 역량을 집중하기 위해 내년까지 조직 구조를 완전히 바꿀 것”이라며 “우선 전시 시설 및 오피스 임대 대행 사업을 담당하던 조직을 축소하고 전시 컨벤션 및 해외사업팀 위주로 조직을 재편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코엑스의 수익 구조도 완전히 바꾼다. 기존에는 무역협회로부터 전시장 임대에 대한 대행 업무를 맡아 수수료를 받는 구조였지만 내년부터는 무역협회에 일정 금액을 내고 전시장을 ‘마스터리스(통임대)’한 후 자체 마케팅으로 수익을 내는 방식으로 변경한다. 이를 통해 오는 2020년까지 매출 1,500억원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변 사장은 “코엑스 전시장 활성화로 잉여수익이 나면 그 재원으로 해외 사업 등 신성장 사업에 투자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코엑스 임대 수수료 역시 올라갈 것으로 예상된다. 전동석 코엑스 상무는 “임대 수수료가 기존에는 ㎡당 2,000원 수준이었지만 이는 홍콩의 3분의1수준에 불과하고 심지어 베트남보다 싸다”며 “앞으로 본격적인 마케팅을 통해 현실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올해를 글로벌 마이스 기업 도약의 원년으로 삼아 해외 시장 공략에도 적극 나선다. 변 사장은 “베트남과 중국에서의 성공적인 전시 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1~2년 내 인도네시아·인도·이란 등 신흥 전략 시장 진출을 검토하고 있다”며 “현재 4개인 전시회 해외 수출을 내년까지 7개로 확대하고 현지 시장의 유망 전시회 인수합병(M&A)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는 대만의 스포츠용품 전시회, 프랑스의 식품전시회 주최사와도 파트너십 체결을 협의하고 있으며 3년 내 2~3건의 대형 국제전시회의 서울 유치를 추진해 2020년까지 현재 1개인 전관 규모 대형전시회를 5개까지 확대한다.

이와 함께 ‘제2의 코엑스’를 짓는 잠실 프로젝트에 민간사업자로 참여하기 위해 전담 태스크포스를 꾸려 투자자를 모집하고 제안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글로벌 톱5 전시 기업을 비롯해 대형 국제회의 전문 기획사와 해외 유명 전시 컨벤션의 국내 유치와 사업 개발을 위한 상호협력에 대한 의향서(LOI)를 체결하기도 했다.

이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