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삼성전자, '스타트업 인큐베이터' C랩서 스타트업 5개 추가 창업

총 18명 임직원이 5개 스타트업 설립, 자율적 사업 추진

비만과 과식 관리해 주는 스마트 벨트 '웰트' 등

C랩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후 스타트업으로 독립하게 된 삼성전자 임직원 18명이 창업 성공 의지를 다지고 있다. 우측부터 ‘웰트’, ‘아이디어 프린터’, ‘삼성단열’, ‘세이프에너지코스트’, ‘락사’ 팀. /사진제공=삼성전자C랩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후 스타트업으로 독립하게 된 삼성전자 임직원 18명이 창업 성공 의지를 다지고 있다. 우측부터 ‘웰트’, ‘아이디어 프린터’, ‘삼성단열’, ‘세이프에너지코스트’, ‘락사’ 팀. /사진제공=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창의적 기업문화 확산과 유망 스타트업 배출을 위해 추진하는 C랩의 5개 과제가 독립 기업으로 출범한다. C랩 5개 기업 18명은 5월 31일자로 삼성전자를 퇴사하고 스타트업을 설립해 본격적인 비즈니스에 들어간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8월 업계 최초로 스타트업 기업 설립 제도(C랩 스핀오프 제도)를 도입하여 9개의 우수 C랩 과제를 선발해 스타트업 창업을 지원한 데 이어 올해 5개 과제를 새로 창업한다.


올해 스타트업 기업으로 독립하는 5개 과제는 △비만 및 과식을 관리해 주는 스마트 벨트 ‘웰트(WELT)’ △아이디어나 메모를 포스트잇으로 간단하게 출력해 주는 ‘아이디어 프린터’ △스마트폰 잠금해제로 사진을 관리하는 앱 ‘락사(Locksa)’ △미국/일본향 최적 전기요금제를 추천해 주는 지능형 서비스 ‘세이프 에너지 코스트’ △세계 최고의 단열 효율을 가진 진공단열재 ‘삼성단열’이다.

관련기사



삼성전자는 내부 기술평가 및 외부 벤처투자(VC)의 가치 평가를 거쳐 외부 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이들 5개 과제 18명을 선발했다. 이들은 6월 1일자로 독립하여 스타트업 법인을 설립한 뒤 올 하반기 시장 출시를 목표로 상품화 완성과 마케팅 활동을 벌일 계획이다.

C랩은 삼성전자가 창의적 조직문화를 확산하고 임직원들의 혁신적 아이디어를 발굴해 구현하기 위해 2012년 말부터 도입한 사내 벤처 육성 프로그램이다. 아이디어로 채택되면 1년간 현업 부서에서 벗어나 팀 구성부터 예산 활용, 일정 관리까지 자율적으로 과제를 수행한다. 삼성전자는 스타트업 기업 추진을 통해 전 임직원의 도적의식을 자극하고 기업가 정신을 가진 숨은 인재들을 발굴할 뿐만 아니라, 외부와 소통하는 계기 또한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스타트업 대상자들은 창업 이후 삼성전자의 역량과 네트워크, 각종 경영노하우를 컨설팅 형식으로 지원받게 된다. 창업의 성공 여부와 관계없이 재입사를 원할 경우 다시 회사로 복귀할 수 있다.

실제로 지난해 스핀오프한 9개 회사들은 치열한 스타트업 환경에서도 성과를 보이고 있다. 모바일 앱을 개발한 (주)스왈라비와 (주)블루핵은 최근 구글플레이에 정식 서비스를 런칭했고, 웨어러블 기반 신개념 통화 UX를 개발한 (주)이놈들연구소는 C랩 출신 스핀오프 기업 최초로 해외 유망 벤처 투자자로부터 지난 4월 투자를 유치했다.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