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인물·화제

일제, 근로정신대 희생자 죽음 선전도구로 활용한 기록 드러나

근로정신대 피해자의 죽음을 미화한 매일신보 1944년 12월 24일자 지면. /연합뉴스근로정신대 피해자의 죽음을 미화한 매일신보 1944년 12월 24일자 지면. /연합뉴스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기관지 ‘매일신보’가 1944년 12월 24일자 지면에 강제동원 피해자 고(故) 김순례·이정숙 양에 대해 ‘순직을 하는 그 순간까지도 비행기 증산에 좀 더 활동못함을 부끄러워하며 선반 앞을 떠나지 않았다’고 서술했다. 하지만 이들은 광주에서 초등학교를 졸업한 뒤 같은 해 5월 일본 미쓰비시중공업 나고야항공기제작소로 강제동원돼 12월 7일 나고야 지역을 강타한 도난카이 지진으로 희생됐다.

당시 공장에는 ‘근로정신대’ 피해자 6명이 건물더미에 깔려 목숨을 잃었다. 하지만 매일신보는 12월 23일부터 이틀간 이들의 죽음을 실제상황과 전혀 다른 내용으로 미화했다. ‘남자로 못 태어나 총을 메고 싸움을 못하러 가니 그 대신 비행기 생산에 산업전사가 되겠다고 굳은 결의를 가지고 여자정신대에 참가한 군국의 정렬을 가진 소녀’등으로 표현하며 매일신보는 강제동원된 소녀들의 죽음을 전시 선전수단으로 악용했다.


이 같은 일제의 만행은 근로정신대 피해자들이 일본 정부와 미쓰비시를 상대로 제기한 소송을 통해 밝혀졌다.

관련기사



근로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은 6월 1일 광주시청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일제의 만행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연다.

이국언 근로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 공동대표는 “억울하게 죽은 소녀들을 모욕한 일제의 만행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유족들과 협의한 후 행동계획 등을 밝힐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진희인턴기자 jh6945@sedaily.com

김진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