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공기업

금융공공기관 이어 다음 타깃은 유관기관...성과연봉제 2라운드로

임종룡 “성과연봉제 전 금융권 확산 기대”...시중 은행도 압박 수위 높여

금융 당국이 성과연봉제 도입 압박 반경을 금융유관기관과 시중은행들로 넓혔다. 금융공공기관 아홉 곳이 모두 도입 결정을 내린 데 따른 전선 확대다. 금융 당국은 한국거래소·금융결제원 등 금융유관기관의 성과연봉제 도입을 관철시킨 다음 본격적으로 시중 금융회사들의 도입을 유도할 방침이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2일 광화문 정부 서울청사에서 열린 제4차 금융공공기관장 간담회에서 “금융공공기관들이 진통 끝에 성과연봉제를 도입하기로 한 만큼 이를 모델로 한 성과연봉제가 전금융권으로 확산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앞서 KDB산업은행·수출입은행 등 정부 산하 9개 금융공공기관은 지난달 30일 기본급 인상률 차등 대상 및 차등 폭을 확대하는 내용의 성과연봉제 도입을 완료했다.


금융위는 다음 타깃으로 한국거래소·증권금융·금융결제원 등 금융유관기관을 꼽았다. 임 위원장은 “최근 우리 금융권을 둘러싼 환경 급변과 우리의 경쟁력을 감안할 때 현재의 연공서열, 획일적 평가, 그리고 현실 안주와 보신주의의 낡은 관행을 개혁하지 않으면 우리 금융에 미래는 없다”며 “특히 금융유관기관들은 업무 특성을 감안해 보다 진지한 자세로 성과연봉제 도입 문제를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융위에 따르면 금융유관기관의 성과보수 비중은 15~20%대로 최근 금융공공기관이 도입하기로 결정한 수준(30%)에 한참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금융결제원의 경우 간부직급까지 호봉제에 근간을 둔 임금 구조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관련기사



시중은행에 대한 압박 수위도 높였다. 임 위원장은 “2006년 15%에 육박했던 은행의 자기자본이익률이 지난해 2% 초반대로 하락했다”며 “노사 모두가 생존을 위해 피해갈 수 없다는 절박함을 가지고 성과연봉제 도입을 위한 협의를 조속히 해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다만 이미 성과연봉제를 확대 도입하기로 한 금융공공기관의 노조가 사측에 대한 고소·고발을 예고한 상태라 성과연봉제 도입과 관련한 논란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예금보험공사를 제외한 8개 금융공공기관은 노조 동의를 거치지 않고 개별 직원들의 동의서를 통해 성과연봉제를 도입했다.

조민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