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수성의 숨바꼭질



지난 5월 9일 좀처럼 접하기 힘든 천문 쇼가 펼쳐졌다. 태양과 수성, 지구가 일직선상에 놓이면서 수성이 태양면을 통과하는 일명 ‘수성 태양면 통과(Mercury Transit)’가 관측된 것이다.

2006년 11월 이후 10년 만에 벌어진 이번 천문현상은 약 7시간 30분간 진행됐으며,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관측할 수 있었다. 단 아시아 일부 국가와 오세아니아에서만 관측이 불가했는데, 안타깝게도 우리나라가 여기에 포함됐다.


미 항공우주국(NASA)이 촬영한 이 사진 속에서 수성이 어디에 있는지 찾을 수 있나? 여러 개의 검은 점들 가운데 단 하나를 제외하면 모두가 태양의 흑점이다. 진짜 수성은 바로 7시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수성의 다음번 태양면 통과는 2019년 11월 11일이다.

관련기사



하지만 이때도 우리나라는 관측불가 지역에 포함돼 있다. 우리나라에서 관측 가능한 것은 그 다음인 2032년 11월 13일로 총 4시간 28분의 이벤트 중 1시간 42분 동안 태양을 가로지르며 이동하는 수성의 모습을 볼 수 있다.


158분의 1
수성이 태양면을 통과하는 동안 지구에서 관측된 태양 대비 수성의 폭. 87.97일의 공전주기를 지닌 수성은 태양계를 구성하는 8개의 행성 중 크기가 가장 작다.

서울경제 파퓰러사이언스 편집부/양철승 기자 csyang@sed.co.kr

양철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