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구의역 사고 원인은 메피아"…박원순 낙하산 인사 도마에

노조·정치인·시민단체 출신 등

핵심 고위직 비전문가가 꿰차

서울메트로 전 간부 일괄 사표

서울 구의역 스크린도어 하청 노동자 사망사고와 관련해 박원순(사진) 서울시장의 낙하산 인사가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박 시장 취임 후 서울메트로의 사장·감사·이사 등 고위직은 노조·정치인·시민단체 출신 비전문가로 대거 채워졌다. 이 때문에 박 시장과 인연 있는 인사들이 서울메트로의 핵심 보직을 꿰차고 일반 직원들은 퇴직 후 스크린도어 관리 용역업체로 옮겨가는 이중의 낙하산 구조가 이번 사고의 원인 가운데 하나라는 지적이 나온다.


5일 서울시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의 통합 무산에 책임을 지고 지난달 물러난 이정원 서울메트로 사장은 전국증권산업노조위원장 출신이다. 이 전 사장은 2014년 2월 서울메트로 경영지원본부장으로 입사해 6개월 만에 사장으로 승진하며 부적절한 인사라는 논란을 빚기도 했다.

관련기사



또 서울메트로 감사를 맡은 지용호씨는 새정치민주연합 서울시당 수석부위원장 출신이다. 안철수 대선후보캠프 부대변인 출신인 이숙현씨와 서울민주청년단체협의회 의장을 지낸 김종원씨는 서울메트로에서 사외이사직을 수행하고 있다. 심상정 정의당 의원의 보좌관을 지낸 오건호씨도 서울메트로 사외이사로 재직했다. 이 같은 서울메트로의 낙하산 관행은 그대로 일반 직원들에게도 이어졌다. 숨진 직원이 일했던 스크린도어 유지·보수 용역업체 은성PSD의 직원 40% 이상은 서울메트로 출신 임직원들. 이들은 다른 직원보다 2∼3배 많은 월급을 챙겼다. 박 시장의 보은성 인사를 통해 낙하산으로 내려온 서울메트로 고위경영진이 직원들의 ‘메피아(서울메트로+관피아)’ 관행을 적극적으로 제지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박 시장은 관피아에 대한 자신의 책임에 대해 애써 무시하는 분위기다. 박 시장은 2일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생방송에서 “서울시에도 관피아가 있었다. 철피아·메피아·관피아를 근절하겠다”며 책임 논란과는 선을 그었다.

서울메트로의 임원을 비롯한 부서장과 팀장 이상 모든 간부는 이날 긴급 간부 대책회의에서 사표를 제출했다. ‘혁명’ 수준의 조직쇄신 방안을 지시한 정수영 사장 직무대행은 제대로 된 대책을 내놓지 못하는 담당 간부에게 책임을 묻기로 했다.

이재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