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검찰 부패특수단 ‘혈세 낭비’ 에 칼끝…대우조선·산업은행 압수수색

정식 출범 5개월 만에 첫 수사…압수수색 대상에 전직 임원 자택도 포함

남상태·고재호 전 사장 재직 시절 수사…분식회계·방만 경영에 초점

대우조선 혈세 쏟고도 ‘중증 부실 기업’ 전락…도덕적 해이 논란까지

전국 단위 대형 비리 사건을 전담해 ‘미니 중수부’로 꼽히는 검찰 부패범죄특별수사단(단장 김기동 검사장)이 대우조선해양을 첫 타깃으로 삼고 수사에 착수했다. 지난 1월 정식 출범하고 수사 대상을 찾아 나선 지 약 5개월 만이다. 특별수사단이 첫 수사 대상으로 대우조선해양을 선택함으로써 그동안 천문학적인 규모의 혈세가 투입됐으나 결국 기로에 선 조선·해운업의 구조적이고 방만한 경영 비리를 파헤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검찰 특별수사단은 8일 서울 중구에 있는 대우조선해양 본사를 비롯해 산업은행 조선업경영정상화지원단·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경남 거제시 소재 옥포조선소 등 10여 곳을 일제히 압수 수색했다. 대상에는 대우조선해양 전직 경영진 일부의 자택 등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별수사단은 검사와 수사관 150여명을 보내 내부 문건과 회계장부, 컴퓨터 하드 디스크 등을 확보했다. 대검 중수부 폐지 이후 부정부패 비리 수사의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설치된 특별수사단이 전방위적 압수수색을 실시하는 등 대우조선해양을 정조준하고 있는 이유는 정부가 수년간 수 조원에 이르는 천문학적 혈세를 투입하고도 부실이 개선되지 않고 있는 ‘중증 부실 기업’으로 전락했기 때문이다.


대우조선해양이 조선 분야 대기업이면서도 막대한 공적자금이 투입된 회사여서 공익적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한데다 최근에는 분식회계·방만경영·도덕적 해이 논란까지 벌어진 점도 특별수사단의 첫번째 목표가 됐다는 분석이다. 아울러 조선업의 구조조정 과정에서 대규모 실업자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경영진은 물론 정관계 유착 비리를 척결하지 않고는 실직 사태에 대한 국민적 분노와 불만을 해소하기 힘들 수 있다는 판단도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검찰 관계자는 “대규모 공적자금이 투입돼 있는데다 국책은행이 최대주주로 경영에 관여하고 있는 대우조선해양에서 대규모 분식회계나 경영진 비리 등 의혹이 다수 포착돼 공기업 비리와 같은 차원에서 철저한 수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며 “수사 대상의 규모나 성격으로 볼 때 이미 특별수사단 수사대상으로 밝힌 바 있는 인적·물적 자원을 집중적으로 투입해야 하는 전국단위의 부정부패 사건에 해당한다는 점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검찰이 이날 대우조선해양·산업은행·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등을 압수 수색하면서 주의 깊게 들여다보고 있는 부분은 대우조선해양이 회사 부실을 숨기기 위해 수년간 조직적으로 분식회계 등을 저질렀는지 여부다. 특히 남상태·고재호 전 사장이 재직하던 2006년부터 2015년 사이 대우조선해양이 분식회계 등 경영 비리를 저지르고도 이를 은폐한 정황을 잡고 수사를 진행 중이다.

대우조선해양은 수 천억원 가량의 영업이익을 냈다고 발표한 2013년과 2014년에 대규모 영업손실을 기록했다고 최근 재무제표 정정 공시를 한데다 지난해 2·4분기에도 3조원대의 적자를 내면서 분식회계 논란에 휩싸였다. 게다가 노르웨이 업체 송가 오프쇼어에서 2011년에 수주한 대규모 해양플랜트 공사나 오만 선상 호텔 사업 등 방만하게 해외 사업을 벌이다 손해만 떠안았다는 의혹도 제기된 상황이다. 당시 회사 최고경영자를 지낸 이는 2006년부터 2012년까지 대우조선해양의 수장을 맡았던 남 전 사장과 그의 후임으로 2015년까지 대표로 재직한 고 전 사장으로 회사 경영 부실의 책임이 있는 인물로 지목되면서 이미 출국이 금지된 상태다.

더구나 대우조선해양은 이미 분식회계 문제로 수백억대의 송사에 휘말려 있는 상황이어서 이번 검찰 수사가 향후 소송에 미칠 영향도 관심거리다. 법조계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 소액주주 420여명은 지난해 9월부터 올해 4월 말까지 대우조선해양과 고재호 전 사장, 외부감사를 맡은 안진회계법인에 240억8,000만원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안현덕·진동영기자 always@sedaily.com

안현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