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공군 “3월 F-16D 추락사고 원인은 엔진 결함”

조사 결과 발표…엔진 제작사 美 P&W에 손해배상 요구 방침

지난 3월 우리 공군의 F-16D 전투기 추락사고는 엔진 고장 때문으로 밝혀졌다. 공군은 이에 따라 엔진 제조업체인 미국 P&W(프랫 앤 휘트니)사에 손해배상을 요구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공군은 “지난 3월 말 발생한 F-16D 전투기 추락사고의 원인은 항공기 엔진의 터빈 1단계 ‘커버 플레이트’가 탈락해 연쇄적으로 터빈을 손상해 엔진이 정지된 것으로 조사됐다”고 10일 밝혔다.

항공기 엔진의 커버 플레이트는 추력을 만들어내는 ‘블레이드’를 보호하는 장비다. 추락한 F-16D는 비행 중 커버 플레이트 30여 개 가운데 1개가 떨어져 나가 터빈을 파손한 것으로 파악됐다.


F-16D 전투기는 지난 3월 30일 오후 동해안 상공에서 비행 훈련을 하던 중 엔진이 정지돼 경북 청송의 야산에 추락했다. 전투기에 탑승했던 조종사 2명은 2차례 재시동을 시도했으나 엔진이 작동하지 않자 전투기가 야산을 향하도록 하고 비상탈출했다.

관련기사



공군은 “문제의 부품은 주조 공정 중 ‘고온균열’(Hot Tearing)이 있는 상태로 만들어졌고 시간이 지날수록 균열 부위가 커져 떨어져 나간 것으로 조사됐다”고 설명했다. F-16D 전투기 추락사고 조사 과정에는 공군 사고조사단과 엔진 제조업체 P&W, 창정비업체 한화테크윈 조사관들이 참여했다. 이들은 약 2개월 동안 현장 조사, 블랙박스 분석, 엔진 분해조사 등 강행군 검사 작업을 벌였다.

엔진 제작사인 P&W 측도 F-16D 추락사고 조사 결과를 수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군은 “엔진 제작사도 문제점을 인식하고 (커버 플레이트) 주조 공정을 개선했다”며 “품질검사도 표본검사에서 전수검사로 확대했다”고 설명했다.

공군 관계자는 “F-16D 추락사고의 원인이 엔진 결함으로 확인된 만큼, 제조업체인 P&W 측에 손해배상을 요구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공군은 보유 중인 F-16 전투기아 KF-16 전투기를 대상으로 지난 8일까지 엔진 내시경 검사를 했으며 항공기 점검, 고속 지상 활주, 조종사·정비사 안전교육 등을 거쳐 오는 14일 비행을 재개할 예정이다.

/권홍우기자 hongw@sedaily.com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