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재테크

[브렉시트 공포 고조...효과적 투자전략은] "1석3조 해외 고배당 ETF 직구해볼만"

경기방어주 섹터 비중 높아

시장 하락기에도 성과 우수

국내 배당주보다 수익률 높고

금융소득종합과세도 면제

분산투자 관점서 관심 가져야



글로벌 주식시장이 높은 변동성의 영향으로 자금 유출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도 배당주 상장지수펀드(ETF)에는 대규모 자금이 몰려 주목된다. 특히 해외상장 배당 ETF는 높은 배당수익률과 안정적인 시장수익률, 세금절약까지 1석3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어 변동성 장세의 도피처로 부각되고 있다.


15일 블룸버그와 동부증권(016610)에 따르면 지난 3일 기준 미국에 상장된 62개 배당주 ETF로 유입된 누적 자금은 30억5,800만달러(약 3조5,910억원)로 집계됐다. 올 들어 주식시장 침체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자금이 유입되고 있다.

관련기사



배당주로 글로벌 자금이 몰리는 이유는 채권금리 하락과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Brexit) 등으로 시장 불안이 커졌기 때문이다. 설태현 동부증권 연구원은 “미국·유럽·일본·한국 등 대표지수 배당수익률은 해당 국가의 10년 채권금리보다 높다”며 “배당주 ETF는 경기방어주 섹터 비중이 높아 시장 하락기에도 낮은 변동성으로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올 들어 지난 6일 기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의 수익률은 3.6%를 기록한 반면 배당주 ETF인 ‘SPDR S&P DIVIDEND’는 13.6%, ‘ISHARES SELECT DIVIDEND’도 13.1%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국내 투자자들도 분산 투자 관점에서 해외 상장 고배당 ETF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국내 배당주보다 높은 배당수익률을 제공하고 절세효과까지 덤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남경욱 삼성증권 강남파이낸스센터 PB팀장은 “5% 이상 고배당을 주는 종목들이 있다”며 “해외 상장 ETF는 국내 상장 해외 ETF와 달리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금융소득 2,000만원 이상)에서 제외되기 때문에 세금도 아낄 수 있다”고 전했다.

증권사들이 추천하는 해외 상장 배당 ETF는 미국에 상장된 배당주 ETF 중에서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SPDR S&P DIVIDEND’. S&P500의 상위 60개 배당수익 종목의 운용실적을 추종하는 이 ETF는 배당수익률도 5.6%로 높은 편이다. ‘ISHARES SELECT DIVIDEND’는 5년 이상 배당한 기업들 중 배당수익률이 높은 고배당주에 투자하는 ETF다. 오재영 현대증권(003450) 연구원은 “배당이 높은 업종인 유틸리티(34%)와 필수소비재(16%)의 비중이 높다”고 설명하며 배당성장주에 투자하는 ETF로는 ‘VANGUARD DIVIDEND APPRECIATION’을 추천했다. S&P500 내 배당수익률이 상위 75개 주식 중 변동성이 가장 낮은 50개 종목을 편입하는 ‘POWERSHARES S&P500 HIGH DIVIDEND’는 최근 6개월 14.9% 수익률을 올리며 추천 대상에 올랐다.

박민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