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롯데 전방위 수사] 檢, 증거인멸 '심각' 판단…수사팀 대폭 확대

가습기수사팀 전환배치 등

"시간 싸움이 변수" 속도전

압수물·실무자 조사 지속

롯데그룹 비리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수사인력을 대폭 늘려 조기에 혐의를 잡아내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증거인멸과 자료제출 지연 등 롯데그룹의 수사 비협조가 심각하다는 판단에서다. 아울러 큰 수사 규모와 최근 바뀐 디지털 증거분석 판례로 인해 수사가 지연될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시간 싸움이 이번 수사의 중요한 변수라는 게 수사팀의 판단이다.

서울중앙지검 롯데수사팀은 19일 마무리 단계인 가습기 살균제 수사에 참여한 검사 중 일부를 롯데 수사팀으로 전환 배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가습기 수사팀에 파견됐다가 원대복귀하는 특수부와 방위산업수사부 소속 검사 3명을 제외하고도 추가 인력을 투입하려는 것이 롯데 수사팀의 계획이다.


롯데 수사팀은 현재 수사의 규모와 쏟아지는 각종 의혹 등 수사 환경에 비해 의혹을 해명해나갈 검사 수가 절대 부족하다고 보고 있다. 이번 수사는 압수수색 대상만 32곳에 이르는데다 지난해 디지털 증거분석 과정에 피의자의 변호사가 함께해야 한다는 취지의 대법원 판례가 나오면서 기초자료 확보에만 예전보다 3배가량의 시간이 더 걸리게 됐다. 검찰 입장에서는 자칫 수사가 기초자료 분석 단계에서 교착 상태에 빠져 동력을 잃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과거 포스코 수사의 경우 347일에 걸친 장기 수사를 펼쳤지만 그룹 수뇌부에 닿지 않고 계열사 사장을 일부 처벌하는 선에서 끝나 검찰 안팎에서는 기대에 미치지 못한 수사라는 지적이 있었다.

관련기사



검찰은 특히 이번 수사에서 롯데그룹의 조직적인 증거인멸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보고 있다. 검찰은 롯데 정책본부가 지난 4월부터 수사에 대비해 소속 직원들의 컴퓨터 하드디스크를 파기하는 등 증거를 조직적으로 없앤 사실을 확인했다. 이달 10일 신격호 총괄회장의 롯데호텔 34층 집무실 압수수색 당시에도 이미 금고는 비어 있었다. 게다가 롯데 측은 검찰이 이달 15일 제출을 요구한 롯데케미칼 ‘통행세 비자금’ 관련 해명자료 역시 제출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 측은 당시 “롯데케미칼의 원료수입 과정에 문제가 없다”며 이례적으로 입장을 냈지만 검찰은 석연치 않은 부분이 있다며 관련 자료 제출을 요구했다.

검찰은 이와 관련해 신 총괄회장과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비자금 의혹 조사 차원에서 롯데케미칼과 롯데건설·롯데정책본부 소속 6∼7명의 재무담당자를 불러 조사하고 있다. 검찰의 한 관계자는 “압수물을 분석하며 실무자를 불러 확인하는 작업을 지속하고 있다”며 “구체적으로 피의사실을 추궁하는 단계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흥록·진동영기자 rok@sedaily.com

김흥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