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애플이 이통사 지원금도 제한한다"는데

조양준 정보산업부 기자



애플의 불공정거래 행위가 또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이미 지난 2012년부터 올해까지 여섯 차례나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불공정약관에 대한 시정명령을 받았는데 다시 조사대상에 올랐다. 이번 피해자는 이동통신업계다. 애플이 신제품 출시 때 이통 대리점에 판매대 설치비용을 전가했는지, 시연용 제품 구입을 강요했는지가 이번 조사 대상이다. 그런데 이것 말고도 또 다른 불공정거래 행위들도 있었다는 주장이 관련 업계에서 나오고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사가 자비를 들여 소비자에게 아이폰 지원금을 많이 주고 싶어도 애플이 반대하면 불가능했다는 주장이 이통업계 실무자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다. 애플이 아이폰 공급계약시 이통사의 보조금 책정 수준까지 자신과 협의해 결정하도록 제한을 걸었다는 내용이다. 애플이 직접 고객지원금을 보태기는커녕 국내 이통사의 고객 지원 정책에까지 참견해 제동을 걸었다면 소비자로서는 분통 터질 일이다.


애플이 비인기 제품을 이통사에 강매하다시피 떠넘겼다는 의혹도 관련업계에서 제기된다. 아이폰 제품 중 소비자 선호도가 떨어지는 16GB 저장용량 모델을 이통사가 일정량 매입해야 인기 있는 64GB 용량 모델 등을 받을 수 있었다는 주장이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이통사 입장에서는 악성 재고로 남을 수 있는 제품을 떠안게 되는 셈인데 그 비용은 고스란히 주주나 소비자에게 전가될 수도 있다.

관련기사



AS 수준도 재조명되고 있다. 애플이 아이폰의 고장률을 자체적으로 매우 낮게 정한 뒤 그 이상의 제품 불량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는 데 소극적이었다는 주장이다. 이 역시 국내 이통사나 소비자가 직간접적으로 부담을 떠안는 결과를 초래했을 수 있는데 마침 공정위가 조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은 일류기업이란 자만감에 취해 소비자를 외면하는 것은 아닌지 자성해볼 필요가 있다. 그동안 기술의 혁신으로 산업계를 선도했다면 이제는 서비스의 혁신으로 거듭날 때다. mryesandno@sedaily.com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