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가계 보험 및 연금 규모 매년 100조씩 늘어

2015년 1,000조 육박..전체 금융자산 중 31%

저금리 고령화 여파 노후 대비 불안감 반영

저금리와 고령화 여파로 노후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면서 가계 금융자산 중 보험 및 연금 규모가 최근 수년간 매년 100조원씩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한국은행 등 금융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을 기준으로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금융자산은 3,176조1,350억원으로 사상 첫 3,000조원대를 기록했다. 이는 1년 전의 2,897조6,450억원 대비 9.6% 증가한 수치다.


이 중 가장 눈에 부분은 바로 보험 및 연금 자산의 급속한 증가세다. 지난해 가계의 보험 및 연금액은 989조1,490억원으로 전체 금융자산 중 31.1%를 차지했다. 지난 2011년 610조1,770억원 대비 400조원가까이 늘어난 수치로 연간 증가액만 평균 100조 원에 달한다. 전체 가계의 금융자산에서 보험과 연금이 차지하는 비중 또한 지난 2012년 28.2%에서 2013년 처음으로 30% 대를 기록한 후 지난해 31.1%까지 높아졌다.

관련기사



이 같은 현상은 계속되는 고령화에 따라 노후 대비 수요가 증가한 것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계속되는 저금리로 돈 굴릴 때는 없는 반면 연금 상품은 세액공제 혜택을, 저축성보험 등 일부 보험상품은 10년 이상 불입시 이자소득세 면제 혜택 등을 각각 제공하는 것 또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전통적인 선호 자산인 현금 및 예금은 지난 2014년 1,261조2,890억원에서 지난해 1,368조700억원으로 늘긴 했지만 차지하는 비중은 43.5%에서 43.1%로 떨어졌다. 가계 금융자산 내 현금 및 예금 비중은 2008년 48.9%에 달했지만 계속되는 저금리로 인해 비중이 계속 줄고 있는 추세다.

수년 째 박스권에 갇힌 주식이나 투자펀드는 저금리 등의 영향으로 지난 2014년 542조4,640억원에서 지난해 615조3,440억원으로 늘었고 금융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8.7%에서 19.4%로 높아졌다. 다만 주식이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 2009년 23.5%였던 것을 감안 하면 향후 기준금리 상승 시 자금 이탈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자산가들을 중심으로 수요가 늘고 있는 채권은 지난해 179조2,780억원으로 1년 전보다 3조5,000억원 늘긴 했지만 비중은 6.1%에서 5.6%로 떨어졌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