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 2025년까지 1,520억 투입해 대학 유흥가 창조경제공간으로 바꾼다

대학가를 창업요람으로…서울시 ‘창조경제 캠퍼스타운’ 조성

서울시, "청년문제·지역활성화 동시 해결하는 새로운 도시재생모델 될 것"

2025년까지 10곳에 추진…고려대 인근 창업지원센터 건립

서울시가 오는 2025년까지 총 1,520억원을 투입해 현재 유흥가 등이 자리하고 있는 시내 52개 대학가 일대를 청년들이 창업의 꿈을 키우는 ‘캠퍼스타운’으로 조성한다. 이를 통해 실업난과 주거난 등 청년 문제와 지역 경제 침체 문제를 동시에 해결한다는 계획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27일 시청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도시재생 모델인 ‘청년특별시 창조경제 캠퍼스타운’ 계획을 발표했다.


서울시가 이날 발표한 캠퍼스타운 계획에는 대학이 인적자원과 지적자원을 제공하고 서울시가 계획수립부터 재정지원까지 공공지원을 해 현재 유흥가 일색인 대학가를 취업 중심의 거리로 만드는 내용이 담겼다. 캠퍼스타운을 통해 핵심 목표인 창업육성과 주거안정, 문화특성화, 상권활성화, 지역협력까지 5가지 목표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창업육성을 위해서는 대학이 소유한 학교 밖 공간에 창업지원센터인 ‘챌린지센터’를 세워, 대학에서 전문 인력을 제공하고 시가 기반 시설 설치와 운영비, 창업프로그램을 지원한다. 또 대학가 인근 빈 점포나 허름한 반 지하공간에 시가 리모델링 비용 일부를 지원해 소규모 창업공간을 만든다. 서울시는 빌 게이츠나 스티브 잡스가 사업을 시작한 아버지 차고와 같은 공간이라는 의미에서 이 공간을 ‘아차(아버지 차고)공간’이라고 이름 붙였다.


주거 안정을 위해서는 고시원, 여관·모텔을 셰어하우스로 리모델링한 사회주택이나 사무와 주거가 혼합된 임대주택 ‘도전숙(도전하는 사람들의 숙소)’ 등을 세운다. 대학가 하숙집과 청년을 연결하는 대학주거박람회도 연다.

관련기사



대학가를 개성이 살아있는 청년문화거리로 만들기 위해 도로변 주차장 일부를 작은 공원으로 바꾸는 등 문화특성화를 한다. 상권 활성화를 위해 푸드트럭존, 아침의 시장 등을 통해 청년들이 학교 밖으로 나와 지역 상권과 만나도록 한다. 학교 도서관 개방이나 학교 부설 주차장 야간 개방 등으로 학교 자산을 주민들과 나누고 시민대학을 만드는 등 지역과 협력한다.

캠퍼스타운은 대학별로 지역창조형 10곳, 프로그램형 50곳을 추진할 계획이다. 지역창조형은 핵심 목표를 종합한 도시재생활성화사업이다. 사업 당 50억∼100억원이 지원된다. 프로그램형은 이 중에 개별적으로 필요한 사업을 하는 것으로, 지역 당 6억∼30억원이 지원된다. 보행환경 개선이나 청년 임대주택 공급 등 하드웨어형은 20곳, 청년창업 컨설팅 등 소프트웨어형은 30곳이 2025년까지 추진된다. 캠퍼스타운 조성에는 오는 2025년까지 1,520억원의 시비가 투입된다.

서울시는 우선 고려대를 지역창조형 시범사업지로 선정하고 올 하반기부터 오는 2020년까지 100억원을 투입해 안암동 참살이길 주변으로 창업문화 캠퍼스타운을 조성한다.

박 시장은 “캠퍼스타운은 서울시가 고민하는 청년실업과 지역경제 활성화, 기숙사 문제와 역세권 개발 등이 모두 얽혀있는 도시재생사업”이라며 “대학들이 주로 강북지역에 몰려 있는 만큼 캠퍼스타운 조성을 통해 지역의 균형 성장에 기여하고 대학가를 중심으로 서울형 창조경제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