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기자의 눈] 친인척 채용, 덮어두기식 비판보다 꼼꼼하게 전문성 고려해야



4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고 했던가. 출세한 6촌 탓에 실직자가 되는 경우도 있다. 국회 10년 경력의 안호근 비서관은 여의도를 떠나게 됐다. 6촌 형인 안호영 의원이 20대 국회에 입성하면서 친인척 채용 논란에 연루됐기 때문이다.

안 비서관은 12년 전 개원한 17대 국회 때부터 여의도 짬밥을 쌓아왔다. 사실 정치경력만으로 따지면 안 의원보다 선배다. 그가 보좌한 의원들만 해도 심재덕·유시민·김영록·김광진·서기호 등 다섯 명에 달한다. 김광진 전 의원은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안 비서관이 북한군 노크 귀순을 밝혀냈다”며 그의 공로를 인정하기도 했다.


안 비서관은 6촌형인 안호영 의원이 지난 총선에 출마하자 자연스레 선거캠프에 몸을 담았다. 그는 캠프에서 안 의원의 PI인 첩첩행복에서부터 모든 정책공약과 메시지, 선거전략 등을 구상했고, 안 의원은 전북에서 유이(二)하게 살아남은 더민주 소속 의원이 됐다. 10년 경력의 안 모 비서관은 충분히 전문성을 갖춘 보좌진이었다.

관련기사



하지만 서영교 더민주 의원의 딸이 유급 인턴으로 채용된 것과 관련해 친인척 보좌진 채용에 쏟아진 융단폭격은 그를 빗겨가지 않았다. 안 비서관은 자신의 채용이 문제가 되자 지난 29일 안호영 의원에게 사표를 제출했다.

전문성에 대한 고려 없이 핏줄만을 문제 삼은 비판에 한 사람의 10년 직장이 사라졌다. 친척이란 사실이 전문성보다도 중요했다면 안 비서관이 다른 의원실에 갔더라도 문제는 발생한다. 동료의원의 친척을 채용하는 것 역시 마찬가지로 부적절하다.

친인척 채용을 둘러싼 비판에 끼리끼리·연고주의 문화를 타파하자는 대의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전문성에 대한 고려가 빠져선 안 된다. 서영교 의원의 경우가 문제가 된 것 역시 전문성이 없는 딸을 채용하고 그 월급을 혈세로 지급해서였다. 친인척을 채용한 의원이 있다면 덮어두고 비판하기에 앞서 관련자에게 전문성이 있는지 꼼꼼하게 톺아보는 절차가 필요하지 않을까.

전경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